
유대 경전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
“이 또한 지나 가리라.”(This, too, shall pass away.)
"기쁜 상황도 지나가니 함부로 교만하지 말고, 슬픈 상황도 지나가니 낙심하지 말고 항상 의연한 태도를 가져라"는 의미입니다.
세상사 모든 것이 희망을 품고 인내심을 갖고 오늘을 성실하게 준비하면 밝은 내일이 오기 마련입니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 슬픔의 날을 참고 견디면 즐거운 날이 오리니. 마음은 미래에 사는 것, 현재는 항상 슬픈 것 모든 것은 일순간에 지나간다. 지나간 것은 다시 그리워지는 것이다."
너무나 유명한 러시아 국민 시인이자, 소설가인 '푸시킨'의 시다.
푸시킨이 모스코바 광장에서 한 소경 걸인을 발견했다. 한겨울인데도 걸인은 얇은 누더기를 걸치고 있었다.
그는 광장 구석에 웅크리고 앉아 벌벌 떨고 있다가 사람들의 발소리가 나면 "한 푼 줍쇼. 얼어 죽게 생겼습니다."하면서 구걸을 했습니다.
그의 모습은 가련했지만 모스코바에 그런 걸인은 셀 수 없이 많았습니다.
그 때문에 그에게 특별히 동정의 눈길을 보내는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푸시킨만은 줄곧 그를 주의 깊게 지켜보다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 역시 가난한 형편이라 그대에게 줄 돈은 없소. 대신 글씨 몇 자를 써서 주겠소.
"그걸 몸에 붙이고 있으면 좋은 일이 있을 거요." 푸시킨은 종이 한 장에 글씨를 써서 걸인 소경에게 주고 사라졌습니다.
며칠 후 푸시킨은 친구와 함께 다시 모스코바 광장에 나갔는데, 그 소경 걸인이 어떻게 알았는지 불쑥 손을 내밀어 그의 다리를 붙잡았습니다.
"나리. 목소리 들으니, 며칠 전 저에게 글씨를 써준 분이 맞군요. 하나님이 도와서 이렇게 좋은 분을 만나게 해 주셨나 봅니다. 그 종이를 붙였더니 그날부터 깡통에 많은 돈이 쌓였답니다."
이 말을 들은 푸시킨은 빙그레 웃음을 지었습니다.
그 소경 걸인은 붙잡은 다리를 놓지 않고 물었습니다. "나리. 그날 써준 내용이 도대체 무엇인지요?별거 아닙니다."
"겨울이 왔으니, 봄도 멀지 않으리라."라고 썼습니다. 사람들은 이 걸인을 보고 느꼈을 것입니다.
"지금은 비록 처참한 날들을 보내고 있지만, 희망을 잃지 않은 사람이다. 봄을 기다리는 이 사람은 도와줄 필요가 있다."
라고, 지나가는 사람들은 생각했던 것입니다.
현재와 과거에 집착해서 머무르려고만 한다면 희망이 품어지지 않습니다.이미 지나간 일들은 해프닝이라고 여기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구약성경에서, "뒤를 돌아보지말라" 는 하나님의 경고를 무시한,롯의 아내가 소금기둥으로 변한 비극과 참담함이 깊이 생각이 납니다.
희망찬 소망의 기쁜 봄의 나날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이동규 칼럼니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