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보다 20대가 금액 더 높아
여성보다 남성이 금액 더 높아

자료=가연결혼정보㈜ 제공
자료=가연결혼정보㈜ 제공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오픈서베이를 통해 축의금 문화에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오픈서베이를 통해 미혼남녀 25~39세 사이의 남자 250, 여자 250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4.38%p로 나타났다.

2030들이 생각하는 적당한 축의금 액수를 결혼식에 참석불참을 기준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먼저 참석 시에 내겠다는 축의금은 평균 8.63만원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남성 9.35만 원’, ‘여성 7.9만 원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08.83만 원’, ‘308.42만 원을 내겠다고 나타났다.

불참 시에 낼 금액은 평균 6.04만원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남성 6.46만 원이었고, ‘여성 5.61만 원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206.1만 원’, ‘305.97만 원이었다.

여성보다 남성이, 30대보다 20대가 생각한 금액이 더 높았다.

상대적으로 20대는 주변인의 결혼 소식이 적기 때문에, 좀 더 신경을 쓰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액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당사자와의 친분 및 알고 지낸 시간86.8%를 차지했다.

향후 내 결혼식에 참석할 사람인지 여부(5.6%)’, ‘결혼식 장소 및 식대(5.4%)’, ‘실물 청첩장의 전달 여부(2%)’, ‘기타(0.2%)’ 순으로 답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각종 축의금 논쟁은 경제적 부담이나 인간관계에 대한 변화도 있으나, 과거에는 나이를 먹으면 결혼하는 게 자연스러웠지만, 요즘은 결혼을 필수라고 여기지 않아서 더 이슈가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서 축의금은 본래 주고받는 품앗이의 개념이 있었지만, 일부 세대 사이에서 돌려받을 일이 없으면 안 주고 안 받는 게 낫겠다고 여기는 것.”이라며 본질적인 것은 시간을 내서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일을 축하해주는 것에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