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1912년 타이타닉호가 빙산에 부닥쳐 침몰하는 과정은 그야말로 아비규환의 비참한 사고 였습니다.

비록 영화로도 재연되었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삶의 가치를 일깨워주었습니다.

지금 당장 내가 탄 타이타닉호가 침몰해간다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할까? 나는 무엇을 위해 기도할까라는 질문을 던져 준다.

이른바 인정과 포용과 배려가 메말라가는 우리네 사회 환경에서 진정한 삶의 가치와 방향을 어디에다 둬야 하는지.

그리고 과연 내가 이 세상 마지막 순간까지 가슴에서 놓아서는 아니 될 가치는 무엇일까?

타이타닉호 침몰 상황에서 끝까지 여성과 어린이를 먼저 구해내려고 발버둥쳤던 그 자세는 왜, 어떻게 살아야만 되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하며, 잊었던 내 삶의 가치를 찾는 사례가 될수 있다는 점이다.

당시 생존자인 부선장은 오랜 세월 침묵 끝에 드디어 사고 당시의 이야기를 공개했습니다.

공포의  타이타닉호 침몰은  1912년 4월 14일로 이 사고로 1,514명이 사망했고 710명이 구조되었습니다.

사고 당시 38세였던 타이타닉호의 이등 항해사 '찰스·래히틀러'씨는 구조된 승객을 책임지기 위해 선원 중 유일하게 구조된 승무원이었습니다.

우리는 '찰스·래히틀러'씨의 타이타닉호 참사의 자세한 사정을 담은 17페이지 분량의 회고록을 통해 당시의 절박한 상황속에서도 아름다운 미덕이 꽃을 피웠다는 점입니다.

선장은 침몰을 앞두고 여성과 아이를 먼저 구조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많은 여성승객들이 가족과의 이별 대신 남아있기를 선택했습니다.

선장은 높은 소리로 '여성과 아이들은 이리 오세요!’라고 불렀지만, 가족을 버리고 혼자 구명보트에 오르려는 여성과 아이는 몇 명 없었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래히틀러'씨는 "살아 있는 동안 그 밤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겁니다."라고 말합니다.

구조를 위해  첫 구명보트가 바다로 내려가고, 저는 갑판 위에 있던 한 여성에게 말했습니다.

"부인, 어서 구명보트에 오르세요!”

그녀는 예상과 달리 고개를 흔들었습니다.

"아니요, 저는 배에 남겠어요.”

이 말을 들은 여성의 남편이 “그러지말고 어서 타세요. 여보!”라고 말하자, 여성은 차분한 어조로 대답했습니다.

“혼자 가지 않겠어요. 당신과 함께 이 배에 남을 거에요.”

그것이 제가 본 그 부부의 마지막 모습이었습니다.

애스터 IV(당시 세계 최고 부자)씨는 임신 5개월 된 아내를 구명보트에 태워 보내며 갑판 위에 앉아, 한 손에는 강아지를 안고 다른 한 손에는 시가 한 대를 피우면서 멀리 가는 보트를 향해 외쳤습니다.

"사랑해요 여보."

승객들을 대피시키던 선원 한 명이 '애스터'씨에게 보트에 타라고 하자, '애스터'씨는 일언지하에 거절했습니다.

"사람이 최소한 양심은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남은 한 자리를 곁에 있던 한 아일랜드 여성에게 양보했습니다.

그리고 며칠 후, 배의 파편들에 의해 찢겨진 '애스터'씨의 시신을 생존자 수색 중이던 승무원이 발견했습니다.

그는 타아타닉호 10대도 만들 수 있는 자산을 가진 부호였지만, 살아남을 수 있는 모든 기회를 거절했습니다.

자신의 목숨으로 양심을 지킨 위대한 사나이의 유일한 선택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외도 있었습니다.

일본 철도원 차장인 '호소 노텍스트'씨는 여장을 한 채 여성과 어린이들로 채워진 10번 구명보트에 올랐습니다.

그는 귀국 후 바로 퇴직을 당했습니다.  모든 일본 신문사와 여론은 그를 공개적으로 비난했으며 그는 십여 년 뒤 후회와 수치로 가득 찬 삶을 마감했습니다.

1912년 타이타닉호를 기리는 자리에서 타이타닉호를 건조한 선박회사 'White Star Line'는 희생자들에 대해 이렇게 추모했습니다.

"남성들의 희생을 요구하는 해상 규칙은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그들의 행동은 약자들에 대한 배려이자, 그들의 개인적인 선택이었습니다.”

'Unsinkable’의 저자 '다니엘 알란 버틀러'는 약자를 살리기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기리며 이렇게 기술합니다.

"그들은 태어나서부터 책임감이 가장 중요하다는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삶은 유한하며  죽음 앞에서는  모두가 평등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손을 놓치고 혼자 남겨져 돈과 유산으로 외롭게 살아가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점입니다.

누구나 죽음 앞에 두렵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죽음 앞에서도  서로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발휘했기에 희생자들의 이름 석자와 그 숭고한 자세는 인류역사에 길이 남아 회자되고 있습니다.

죽음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을 위하여 죽음을 선택한 분들의 희생정신에 고개가 숙여집니다.

무엇이 이 분들로 하여금 목숨을 던지는 고귀한 결단을 내리게 하였을까요?

사랑, 희생, 배려, 품격, 명예를 포함하여 한가지 키워드로 요약될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우리에게  '신사도(Gentlemanship)'라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습니다.

예비역 장군 김경중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