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1일(현지시간) CNN은 인도는 루피의 디지털 버전을 출시할 계획이며, 국가 지원의 가상화폐를 만드는 데 가장 최근에 동참한 국가가 될 것이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인도 중앙은행은 4월부터 시작되는 새 회계연도에 '블록체인 등 기술을 이용한 통화'를 조만간 도입할 전망이다고 덧붙였다.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은 1일(현지시간) 연간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하면서 "디지털 루피가 디지털 경제에 큰 활력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디지털 루피가 처음에 얼마나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인지, 또는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더 이상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인도는 수년간 암호화폐와 디지털 자산을 어떻게 가장 잘 규제할 것인가에 대해 고심해 왔다. 때로는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금지 조치까지 고려 하여 왔다. 지난해 인도 의회 홈페이지에 올린 제안에서는 인도 내 모든 개인 암호화폐를 금지할 계획을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중앙은행은 종종 가상화폐가 자금세탁과 테러 자금조달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해 왔다. 

하지만 가상 화폐는 대유행의 시작 이후 인도인들에게 매력적이 되었다. 정부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가상화폐를 거래하는지에 대한 추정치를 밝힌적은 없다. 현지 매체는 업계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인도에 서 2,000만명에 달하는 암호화폐  투자자를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도 정부도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자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도 최초의 크립토 유니콘이기도 한 거래소 코인DCX의 공동창업자 수미트 굽타는 "가상 디지털 자산이나 암호화에 대한 세금은 올바른 방향이며, 이는 업계에 절실히 필요한 명료성과 자신감을 준다"고 논평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