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는 2030년 400개로 추정
ICBM, SLBM, 전략 폭격기 등 3대 핵전력 구축 가능성 언급

2030년 중국이 보유한 핵탄두가 1천 개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일(현지 시각) 미국 국방부는 중국 국가 전략, 외교 정책 목표, 경제 계획, 군사력 발전 등 내용을 담은 중국 군사력 보고서(China Military Power Report)를 발표하면서 중국 핵탄두 보유 규모가 2027년 700개, 2030년까지 1천 개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규모는 현재 미국이 보유한 핵탄두에 미치지 못하지만, 미 국방부가 2030년 중국 핵탄두가 400개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한 지난해 예측이 크게 변했음을 의미한다.
국방부는 의회에 제출한 해당 보고서에서 중국이 대만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으며 화학 무기와 기술 진보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중국 군사력 보고서는 중국이 핵무기를 끊임없이 증가시키고 있다는 점을 특히 강조했다.
국방부는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의 목표는 핵전력의 ‘현대화’, ‘다양화’, ‘확대’라며 중국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사일로(silo) 3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중국이 공중, 지상, 해상에서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 3대 핵전력(ICBM,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전략폭격기)을 구축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대릴 킴벌(Daryl Kimball) 미국 군축협회(ACA, Arm Control Association) 사무총장은 “중국이 미국 예상대로 핵전력 발전 계획을 추진할지 여부는 미국의 정책과 행동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이라며 “중국이 핵탄두 수량을 국방부가 예상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킴벌 사무총장은 “핵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실용적인 양자 또는 다자간 회담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그동안 중국에 미국-러시아 군비 제한 신규 조약에 가입하라고 거듭 촉구해왔다. 이에 대해 중국은 자국 핵전력이 양국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미국이 핵전력 수준을 중국과 같은 수준으로 낮춰야만 대화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한편 2003년 1만 개 수준이었던 미국 핵탄두 수량은 현재 3750개이며 올해 9월 기준 1389개를 배치했다.
조성영 기자 chosy@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