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박준상 기자] 생체학(biology)와 바이오기술(biotechnology)이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이에 관한 보안정책이 너무 미비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미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화학생명공학과 진 페코드(Jean Peccoud)교수는 최근 '사이버 바이오보안(cyberbiosecurity)'이라는 논문을 통해 "생명과학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과거엔 대부분의 바이오보안 및 바이오안전 정책이 샘플 용기에 근거한 것이었지만, 현재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용이하게 DNA 염기서열을 만들거나 읽을 수 있기때문에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 사진 / Phys.org >

새로운 DNA 모듈을 전문적으로 디자인하는 생체학자인 페코드 교수는 "최근 대부분의 연구 프로젝트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새로운 유형의 위협을 만들어내고 있다"며 "보다 철저한 보안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페코드 교수와 동료들은 생명공학에서 보안 정책이 바이오 안전과 보안 2가지 구분으로 나뉜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안전(biosafety)은 병원체로부터의 노출 방지와 생물학전제(biological agents)의 예기치 않은 살포를 방지하는 것인데, 방어복, 살균절차 및 밀폐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바이오보안(biosecurity)은 바이오보안 정책은 통상적으로 여행, 공급망, 또는 테러 활동과 관련된다.

바이오보안에 대한 위반은 위험물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생할 수 있고 아울러 바이오테러 등과 같이 고의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컴퓨터 계산과 실험실 연구 사이의 미묘한 관계에서부터 위협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방어를 위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엔 소프트웨어 도구들이 새로운 형질을 담은 DNA 서열을 디자인할 수 있고, 유전자 합성 기술은 이론적으로 병원체의 염기서열로부터 추출된 바이오 무기를 개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미 연방정부는 유전체 합성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제시할 새로운 가이드를 개발하기도 했다.

< 콜로라도 주립대 진 페코드 교수 / colostate.edu >

페코드 교수는 "연구실에서 샘플에 레이블을 잘못 붙이는 실수 등과 같은 자그마한 위험에서부터 시작하는 광범위한 유형의 위협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위험요소가 곳곳에 상존함에도 불구하고, 바이오기술 공급망에 존재하는 협력자들에 순진한 신뢰감이 너무 많이 만연해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오 분야 연구를 둘러싼 생산성을 증진시키고 심각한 사고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것들이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페코드 교수는 "신용카드 및 여타 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위험의 해킹 사고와 마찬가지로 바이오 분야에서 사이버보안과 관련된 인식이 증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진들은 종업원 교육훈련, 사이버바이오보안 위험에 대한 잠재적인 노출을 평가하기 위한 종합적인 분석, 그리고 보안사고를 방지하고 탐지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의 개발을 제안했다.

또한 공동체의 개인들이 사이버바이오보안 위험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면, 자신의 작업환경에서 보안을 위한 행동을 이행하기 되고, 규제자들도 사이버바이오보안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