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 과기정통부>

[뉴스비전e 정윤수 기자] 중소·벤처 기업 위주로 돼 있는 무인이동체 산업을 국가 혁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7배 이상 더 확대될 관련 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이번 로드맵은 10개년 동안, 6대 공통핵심기술로 분류해 추진된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대 공통핵심기능기술 과 5대 용도별 플랫폼 개발을 골자로 하는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은  올해 1월 산·학·연 연구자로 구성된 '무인이동체 기술 로드맵 기획위원회'를 구성한 후 현장과 과기정통부 및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의 의견을 수렴해 만들어졌다. 

무인이동체는 스스로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작업을 수행하는 육·해·공 이동수단을 망라하는 개념이다. 4차 산업혁명을 가장먼저 체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2016년 326억달러에서 2030년 2742억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은 대부분 영세한 중소·벤처기업으로 세계시장 점유율은 2.7%에 불과하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무인이동체는 혁신성장을 가장 먼저 가시화할 분야”라며 “앞으로 산·학·연·관이 필요로 하는 무인이동체핵심기술을 개발·공급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의 견인자 및 조력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정부는 육·해·공 무인이동체가 공통으로 갖춰야 할 ▲탐지·인식 ▲통신 ▲자율지능 ▲동력원·이동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등을 '6대 공통핵심기능기술'로 정했다.

이를 통해 무인이동체 성능 고도화에 필요한 공통핵심기술을 공급하고 유사·중복 개발을 방지하는 등 연구개발(R&D)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 이런 공통핵심기술과 무인이동체의 용도에 따른 특화기술을 결합해, 앞으로 무인이동체 시장에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5대 용도별 플랫폼'을 개발키로 했다.

무인이동체 육성 로드맵 개요 <자료 / 과기정통부>

심해저·험지·고고도 등에 쓰일 '극한환경형', 개인 수요와 편의에 최적화된 '근린생활형', 로봇기술을 결합해 작업효율을 극대화한 '전문작업형', 다수·다종 무인이동체간 통합운용이 가능한 '자율협력형', 여러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융·복합형' 플랫폼이 각각 만들어진다.

'극한환경형'으로는 장기운용 수중 무인이동체(개발목표연도 2027년), 지하공간 탐색 육상 무인이동체(2027년), 생체모방형 무인항공기(2029년)가, '근린생활형'으로는 배송용 드로이드(2023년), 통근용 개인드론(2024년), 연안운항 무인수상정(2024년)이 각각 개발된다.

'전문작업형'으로는 로봇드론(2026년), 전문작업 육상무인이동체(2027년), 심해작업 무인잠수정(2027년)이, '자율협력형'으로는 농업용 군집 무인이동체(2024년), 모선-자선형 군집무인이동체(2027년), 재난용 군집 무인이동체(2029년)가 만들어진다.

이 중 '군집 무인이동체'는 여러 대의 무인이동체가 서로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함께 움직이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넓은 지역에서 작업을 하는 드론 여러 대를 배치하는 등 상황에서 쓰이는 기술이다. 

'융·복합형'으로는 무인선-무인잠수정 복합체(2028년), 수송용 육공분리합체기(2029년), 잠수가능 무인기(2029년)가 개발된다.

'분리합체기'는 무인자동차, 무인선박, 무인잠수정, 무인항공기 등이 서로 분리되거나 합체되어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뜻한다. 

과기정통부는 내년에 120억원 규모의 무인이동체 핵심기술개발 R&D를 우선 지원하고, 향후 10년간에 걸쳐 5천5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키로 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을 2017년 세계 7위에서 2022년 6위, 2030년 3위 수준으로 점차 끌어올리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2016년 2.7%에서 2022년 7%, 2030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무인이동체 분야 일자리 창출 규모는 2016년 2천750명에서 2022년 2만7천900명, 2030년 9만2천명으로, 수출액은 2016년 2억달러에서 2022년 50억달러, 2030년 160억 달러로 늘리겠다는 목표도 함께 제시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