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1년내 상환해야 할 차입금 비중 세계서 5번째로 높아"

파키스탄 ·대만· 베트남· 중국· 한국 순

2016-02-02     김호성 기자
[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은 만기가 1년 미만의 단기 차입금 비중이 크고 수익성이 낮아 경기 악화에 취약하다는우려가 나왔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일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기업부채 리스크'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주요 41개국의 상장기업 재무정보를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전체 차입금 가운데 단기차입금 비율은 42.6%로 다른 국가들의 평균(26.0%)보다 16.6% 포인트나 높다. 

41개국 중 파키스탄(56.0%), 대만(53.0%), 베트남(52.8%), 중국(49.3%)에 이어 5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단기간에 갚아야 할 빚은 기업의 유동성 위험요소로 평가된다.

반면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익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은 5.2%로 나머지 40개국 평균(9.9%)의 절반 수준이다.
싱가포르(34.8%), 노르웨이(15.4%), 사우디아라비아(15.2%), 덴마크(14.2%), 스위스(11.1%), 미국(10.8%)보다 훨씬 낮았고 주변국인 중국(7.2%)과 일본(5.9%)에도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보다 영업이익률이 낮은 국가는 폴란드(4.8%)와 그리스(3.7%) 등 2개국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