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와 무역 협상 중단…“반관세 광고에 보복 관세 10% 추가 부과”

2025-10-27     이창우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중단하고, 이미 과세된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2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캐나다 측이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광고를 방영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리얼 소셜(Real Social)’을 통해 “그들의 광고는 즉시 철회됐어야 했는데, 어젯밤 메이저리그 월드시리즈 중에도 방영됐다”며 “사실을 왜곡하고 적대적으로 행동한 만큼 캐나다산 상품에 대한 기존 관세를 10% 추가 인상한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광고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제작돼 24일 밤 월드시리즈 중계 도중 방영됐다. 영상에는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의 연설이 편집되어 삽입되었으며, 높은 수입 관세가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대해 미국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재단과 연구소는 X(옛 트위터)를 통해 “해당 광고는 단절적이며, 레이건의 1987년 라디오 연설을 허가 없이 사용했다”며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광고 방영 직후 트럼프는 “행실이 수치스럽다”며 오타와와의 무역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캐나다 유력지 글로브 앤 메일은 “이번 사태는 철강·알루미늄·에너지 분야의 새 무역협정 체결을 앞둔 양국 관계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고 분석했다.

한편, 독일 상보는 25일 보도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의 반관세 광고 방영을 이유로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고 전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는 트럼프의 강력한 비판 이후 24일 밤 해당 광고의 방영 중단을 발표했으나 즉시 시행되지는 않았다.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지사는 X에 “캐나다 총리 마크 카니와의 협의 후, 온타리오주는 27일부터 광고 캠페인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포드 주지사는 “이번 주말까지 광고를 계속 방영하겠다”며 “미국 대중에게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환기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이미 충분한 효과를 거두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백악관에 복귀한 이후 철강·알루미늄 등 주요 산업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여러 국가와의 양자 협정을 새로 체결해왔다. 캐나다는 미국의 두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로, 미국 기업의 철강·알루미늄 주요 공급국이다.

양국 관계는 다음 달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당초 트럼프와 카니 총리의 회담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트럼프는 “그와 이야기할 의도가 없다”고 밝히며 회담은 무산될 전망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