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 둔화 속 연준, 첫 금리 인하 가능성…정치적 압박 논란 고조
미국 고용시장이 약세를 보이면서 연방준비제도(Fed)가 다가오는 정책 회의에서 올해 첫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수개월간 금리 인하를 촉구해 온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지만, 독립성을 지켜온 중앙은행이 정치적 압력에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도 증폭시키고 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금리를 내린 뒤, 트럼프 행정부의 전면적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며 금리를 4.25~4.50% 수준에서 동결해왔다. 그러나 최근 고용 둔화 흐름 속에서 시장은 오는 9월 17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25bp(0.25%포인트) 인하 발표를 유력하게 보고 있다.
필립 립스키 대서양평의회 국제경제학 의장은 “연준의 방향은 비교적 명확하지만 이번 회의는 극적 요소가 있다”며, 최근 인사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임한 연준 이사 최초의 흑인 여성 리사 쿡, 그리고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출신 밀란이 새 이사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결정이 단순히 한 차례 인하에 그칠지, 아니면 본격적인 완화 사이클의 시작이 될지를 주목하고 있다. KPMG 수석 이코노미스트 다이앤 스웡크는 “연준이 이번에 완화 주기 개시를 약속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트레이더들은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한다면 추가 인하 가능성에 힘이 실릴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PI)**는 8월 기준 전년 대비 2.9% 상승,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웰스파고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다”며 연준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결국 이번 회의에서 발표될 금리 결정과 함께, 연준이 내놓을 향후 통화정책 신호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