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도산 제품에 50% 고율 관세 부과…인도 경제 직격탄
미국이 인도산 제품 대부분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인도의 대미 수출 산업 전반이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번 조치는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와 군수 장비 구매를 중단하지 않은 데 따른 보복 성격으로 풀이된다.
워싱턴은 이달 초 이미 인도산 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나, 이번에 다시 25%를 얹어 총 50%까지 인상했다. 영국 가디언은 27일 보도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전하며, 노무라증권은 이번 조치를 사실상 “무역 금수 조치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미국은 인도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연간 교역 규모가 865억 달러에 이른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인도 수출품의 약 3분의 2가 고율 관세 적용을 받게 되면서 섬유, 보석, 해산물, 가죽 등 고용 집약적 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엘라라증권의 칼리마 카푸르는 “이 같은 환경에서는 인도 제품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인도의 올해 GDP가 1%포인트 가량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업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인도의 6월 전체 실업률은 5.6%였고, 도시 지역은 7.1%까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대미 수출 감소가 수백만 명의 일자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복제약, 전자제품, 석유제품은 이번 조치에서 제외됐으며, 철강·알루미늄·구리 제품에는 기존대로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그럼에도 전통적으로 수출을 지탱해온 섬유와 보석 업계는 “지진과 같은 충격”이라고 토로했다.
전 무역 관료 아자이 스리바스타바는 “관세 여파로 인도의 대미 수출이 최대 43% 감소할 수 있으며, 수출액은 602억 달러에서 186억 달러로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 “관세로 인한 충격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으로 절감한 170억 달러보다 훨씬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내수 확대를 위한 대책을 내놓으며 “인도 국민은 인도산 제품을 우선 구매해달라”고 호소했다. 정부는 전국 상품·서비스세(GST)를 5~18%로 낮춰 필수품 가격을 인하하고, 수출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대규모 패키지 마련에도 나서고 있다. 그러나 업계는 금리 인하와 대출 상환 유예 등 보다 직접적인 금융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모디 총리는 “세계가 경제적 이기심의 시대에 들어섰다”며 “인도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대가를 치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