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인텔 지분 9.9% 확보…89억 달러 투자
미국 정부가 세계 최대 반도체 제조업체 중 하나인 인텔의 지분 9.9%를 확보하며 최대 주주 중 하나로 올라섰다.
인텔은 22일(현지시간) 미국 정부가 89억 달러(약 114억 싱가포르 달러) 규모의 자사 보통주를 매입했다고 발표했다. 매입가는 주당 20.47달러로, 당일 종가(24.8달러)보다 약 17% 낮은 수준이다.
이번 투자금은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라 승인됐으나 아직 지급되지 않았던 보조금 57억 달러와, 국방 관련 ‘보안 구역 프로그램(Secure Enclave Program)’에서 배정된 32억 달러로 구성됐다. 인텔은 앞서 반도체법을 통해 22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은 바 있으며, 이번 투자까지 합산하면 총 111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확보하게 된다.
인텔은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의 투자는 수동적 지분 보유에 해당하며, 이사회 의석이나 경영권, 알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인텔 CEO 천리우(陳立午)를 공개 비난하며 사임을 요구했으나, 11일 회동 후 태도를 바꿔 그를 칭찬했다. 트럼프는 22일 기자회견에서 “천리우가 처음에는 자리를 지키기 위해 왔지만, 결국 미국에 100억 달러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지분 참여를 둘러싸고 미국 내에서는 찬반 논란이 거세다. 시노버스 트러스트 펀드 매니저 댄 모건은 “트럼프 대통령을 인텔의 ‘판매원’으로 만드는 격”이라며 비판했다.
또한 카토 연구소의 스콧 린시컴 연구원은 “정치적 개입이 심화되면 인텔의 경영 판단이 상업적 고려가 아닌 정치적 요인에 좌우될 수 있다”며 “이는 장기적으로 인텔의 경쟁력에 해를 끼치고, 외국 정부의 표적이 될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