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사상 최고 수준의 가계 부채…소비자 신용 의존도 심화
프랑스 가계의 부채 규모가 사상 최고치에 이르며 경제 전문가들과 금융 당국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프랑스 주간지 관점(Le Point)의 7월 26일 보도에 따르면, 2023년 이후 과도한 부채 현상이 악화되는 가운데, 소비자 신용 및 주택 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 대출 의존도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프랑스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프랑스의 소비자 신용 대출 미상환 잔액은 2,141억 유로로, 이는 20년 전인 2005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개인 신용 총액은 1조 5,280억 유로에 달하며, 2024년 기준 프랑스 가정의 41.9%가 최소 한 건 이상의 대출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 둔화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인의 대출 상환 부담은 여전히 크다. 2024년 프랑스의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2%로 둔화되었지만, 대출 상환 연기나 재조정을 신청한 사례는 2025년 2분기에 ‘약간 증가’했다는 것이 프랑스 금융 회사 협회의 분석이다. 특히 자동차, 가구, 가전제품, 여행 등 일상소비를 위한 신용 사용이 확대되면서 소비자 신용이 가계의 생활수준 유지를 위한 주요 수단이 되고 있다.
경제학자 필리프 클레르베르(Philippe Crevel)는 “인플레이션 속에서 소비자 신용은 가계가 원래의 생활 수준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만큼 상환 부담에 따른 부정적 감정이 뚜렷하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중앙은행은 2024년 한 해 동안 134,803건의 과도한 부채 신청을 접수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10.8% 증가한 수치다. 중앙은행은 이러한 증가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지연된 충격’으로 해석하며, 특히 식품 및 에너지 가격 급등이 저소득층 가계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용 불이행률도 상승 추세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12% 증가한 채무 불이행 사례 중 약 75%는 소비자 신용 관련 건으로, 그 심각성을 방증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도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는 부채 구조가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클레르베르는 “2010년 도입된 ‘라가르드법’과 같은 과도한 부채 방지정책 덕분에 과도한 부채 자체는 줄어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총 부채 규모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프랑스은행업연합회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23년까지 프랑스 가계 부채의 연평균 증가율은 2.8%에 달한다. 특히 부동산 관련 대출이 전체 개인 대출의 84%를 차지하며, 이는 고가의 부동산 시장 구조와 맞물려 주택 구입 시 대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2005년부터 2025년까지 개인 부동산 부채는 3배, 30년 기준으로는 무려 6배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클레르베르는 마지막으로 “생태 전환과 함께 차량 교체 등 새로운 비용 구조가 소비자 신용 수요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 가계의 부채 증가세는 단기적인 인플레이션 상황을 넘어 장기적인 구조 변화와도 맞물려 있는 만큼, 당국의 면밀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