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권 칼럼] 하남자와 하수인, 국민의 힘 분열의 끝은 어디까지인가
연명치료 원치 않는 국민들이 외면하는 사선(死線)에 서있는 안철수와 권성동
정신 차리지 못하는 지금 국민의 힘은 정당이라기 보다는 정치 실험실로 평가하는 것이 현실일 듯 싶다. 실험 대상은 두 가지다.
하나는 ‘하남자’, 다른 하나는 ‘하수인’이다. 전자는 정의롭고 독립적인 척하지만 늘 결정적 순간에 어중간한 선택을 반복하는 인물상이다. 후자는 권력에 줄을 대며 정치 생존을 우선하는 전형적인 구색 맞추기 인간상이다.
지금 이 당의 분열은 정책이나 노선이 아니라, 바로 이 ‘하남자’와 ‘하수인’의 대리전이다. 그 상징적 인물이 각각 안철수와 권성동이라는 점은, 현실적 위기와 몰락을 설명하는 데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게 만든다.
안철수는 스스로를 ‘상남자’라 포장하지만, 정작 그 정치 궤적은 결정 장애의 연속이자 줄타기의 역사다. 야권 통합, 대선 불출마, 당대표 도전, 혁신까지 어느 하나 끝장을 보지 못한 채 늘 빠른 타협과 모호한 메시지가 트레이드 마크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그를 두고 “말은 많이 하지만 책임은 안 지는 남자”, 즉 ‘하남자’의 전형이라 평가한다.
공천 참사, 윤심 독점에 대한 비판은 나왔지만, 그는 끝내 지도부 책임론을 정면으로 요구하지도, 스스로 탈당하지도 않았다. 입으로는 혁신을 말하면서 발은 당사 문턱에 걸쳐놓고 있다.
권성동은 진성 하수인이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 그룹인 이른바 ‘윤핵관’의 핵심으로, 총선 실패의 주범 중 하나로 지목되었음에도 책임은커녕, 여전히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애쓰는 중이다.
당의 쇄신이나 반성보다 대통령의 의중을 살피는 데 더 열심이었던 그에게 당의 미래는 관심사가 아니다.
오직 권력의 온기를 유지하는 것만이 그의 정치의 이유다. 안철수가 의심 많은 애매함이라면, 권성동은 확신에 찬 굴종이다. 둘 다 국민이 보기에 별반 다르지 않은 정치 혐오일 뿐이다.
국민의힘의 분열은 이제 단순한 갈등 수준을 넘었다. 혁신위는 명분만 남았고, 책임자는 없으며, 지지율은 바닥을 찍고 있다. TK 민심도 돌아섰다. 정치판에서 회자되던 내년 지선에서 'TK 자민련'이 현실화될 것이란 분석만 넘친다.
이렇게 생사의 갈림길에서 당의 존립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다. 유력 여당대표들은 '국민의 힘 해산'을 자신한다. 그런데도 하남자와 하수인들은 책임 공방을 펼치며 어쩌면 오지도 않을 다음 기차를 노리는 한심한 모습이다.
당내 그 누구도 이 분열을 수습할 능력도 의지도 보이지 않는다. 결국 당은 하남자 같은 무능력과, 하수인 같은 무책임 사이에서 질식사하고 있는 셈이다.
국민의힘은 더 이상 보수의 중심도, 국민의 당도 아니다. 이 당은 하남자들이 ‘있는 척’하고, 하수인들이 ‘지배하는 척’하는 허상만 존재할 뿐이다.
정치 리더십의 부재, 책임 회피, 권력에 줄서는 충성 경쟁. 현재 국민의힘을 설명하는 전부다.
그리고 연명치료를 원하지 않는 국민들이 외면하는 사선(死線)에 안철수와 권성동이 각각 '하남자'와 '하수인'의 이름표를 달고 서 있다. <김창권 大記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