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국제 교육시장 두 배 확대 계획 발표…유학생 근무 규정 완화

2025-07-17     이창우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뉴질랜드 정부가 국제 교육시장을 오는 2034년까지 현재의 두 배 규모로 성장시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유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근무 조건을 완화하고, 외국인 학생 유치를 위한 제도적 개선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7월 14일(월) 뉴질랜드 교육부 장관 스탠포드는 국제 교육시장 확대 전략을 발표하며, “2023년 이후 국제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는 이 성장세를 더욱 가속화해 교육시장의 경제적 가치를 72억 뉴질랜드 달러(약 55억 2,100만 싱가포르 달러)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현재 뉴질랜드의 국제 교육산업은 약 36억 뉴질랜드 달러 규모에 이르며, 정부는 2027년까지 국제 학생 수를 2024년의 8만 3,700명에서 10만 5,000명으로 늘리고, 2034년에는 11만 9,00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스탠포드 장관은 “당분간은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들을 우선 목표 시장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국제 유학생 유치를 위해 규제 완화에도 나섰다. 앞으로 조건에 부합하는 국제 학생들의 주당 근무 시간을 기존 20시간에서 25시간으로 확대하고, 유학 중 근무 자격이 주어지는 학생의 범위도 넓힐 방침이다. 이는 학비와 생활비 부담을 완화함으로써 유학 유인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번 발표는 뉴질랜드가 경기 침체를 타개하고 경제 회복에 속도를 내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앞서 1월, 뉴질랜드 정부는 전 세계의 디지털 노마드를 유치하기 위해 원격 근로자를 위한 비자 요건을 완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유학생과 디지털 인재 유치를 통해 국내 소비와 고용을 활성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한편, 미국과 호주 등 전통적인 유학 강국은 최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외국인 학생 비자 발급을 제한하고 있으며, 호주 정부도 2025년 국제 학생 수를 27만 명으로 제한해 급증하는 이민자 수와 부동산 가격을 억제하려는 입장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뉴질랜드는 비교적 개방적인 정책을 통해 새로운 유학 대안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