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AI 시대 K-디지털 금융,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전쟁 시작 (下)

이재명 대통령, 세계 3대 AI 강국 천명... 디지털 금융 혁신 시계 작동

2025-07-07     김창권 대기자

우리나라 금융 산업이 변곡점에 서 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이재명 대통령이 한국형 챗GPT’를 모든 분야에 실용화하고 세계 3AI 강국을 천명하면서 디지털 금융의 혁신 시계가 방향성과 속도감을 가지고 강력하게 돌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제 K-디지털 금융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그동안 짬짬이로 얼렁뚱땅 지나쳐 왔던 관치금융의 그늘을 깨는 게 급선무다. 선진국형으로 진화해야 한다. 수익 추구를 넘어 국민이 모두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책임이 의무다.

주요 금융 지주사들은 분주해졌다. 조직개편은 기본이고 회장들이 앞장서 AI 경쟁력 강화를 직접 챙기는 모습들이 목격된다.

KB금융은 최근 [KB GenAI] 포털을 내놓았다. 신한지주는 진옥동회장을 비롯한 임원들이 6주 일정으로 AI 관련 교육을 받았다. 하나는 AI 업무 지원 플랫폼인 [지식 챗봇]에 자체 개발 AI를 전면 적용했다. 우리는 AX 전략 콘트롤 타워를 구축했다.

문제는 실천이다. 늘 그랬듯이 정부 정책에 순응하는 척만 하는 구태는 더 이상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금융기관 수익과 혜택이 특정 세력에 집중되는 잘못된 관행부터 근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구축돼 있는 금융권 카르텔을 척결하고 금융지주사 수익의 1~2%를 활용한 사회적 기금조성을 통해 소외계층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하루빨리 검토해야 한다.

특성 세력 특혜 관행 척결... '사회적 기금’ ‘피싱방어센터적극 도입해야...

‘AI 신용평가 모델 고도화도 주목할 이슈다. 기존 신용등급 체계로는 평가받기 어려운 계층을 위해 소득, 소비패턴, 통신 요금 납부 이력 등 비전통적인 데이터를 활용한 포용적 신용평가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

피싱방어센터구축도 서둘러야 한다. 현재는 피해 신고자에게 우선 피해금액을 지급한 후 금융기관이 구상권을 청구하는 보여주기식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보다 근본적인 것은 중복되고 있는 피싱 사고를 중앙 센터에서 집중 관리, 예방, 대응하는 체계를 실질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금융 기관은 대응 패턴과 기술을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유지하여 대한민국 금융 소비자를 보호할 의무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진정한 글로벌디지털 금융 강국이 되려면 전자금융기술의 내재화도 필수다. 100% 외부 용역에 의존하는 구조로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어렵다. 스타트업, 중소기업 기술의 가치를 비합리적 평가 기준으로 절하시켜 성장 기회조차 제공하지 않는 폐단은 척결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료적 조직문화에서 벗어나 수평적이고 합리적인 디지털형 조직으로 재편해야 함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디지털 기술에 정통한 미래형 금융인재 양성, 자체 기술 개발 역량 확보는 핵심 과제다.

하나금융 회장 사법 리스크 관건, 내년 임기 만료 신한, 우리, KB 수장 거취 최대 관심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어느 때 보다 5대 금융지주사 수장들의 거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신한 진옥동회장, 우리 임종룡회장의 임기가 내년 3, KB 양종희회장 임기는 11월 각각 만료된다.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은 지난 202311월 항소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었으나 20253월 연임에 성공했다. 2년 가까이 연기되어 온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있는 사법리스크가 최대 관건이다.

금융권에서는 핵심 지표인 실적 등 성과만 놓고 보면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그것조차 금융권의 일방적인 입장에 불과하다. 고객들의 평가는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도 강하게 질타했듯이 과도한 예대금리차는 그동안 금융권이 금융당국의 묵인 아래 누려왔던 특혜(?)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대통령 연일 강조하는 포용금융 생태계, 실현 여부가 핵심

이재명 정부의 금융혁신은 한국 금융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고 디지털전환을 통한 글로벌경쟁력을 확보하며 국민중심의 금융복지 실현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기반하고 있음을 잊어서는 결코 안 된다.

기술 발전이 가져온 변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 금융 산업이 나아갈 방향은 한층 명확해 보인다. 그것은 다름 아닌 포용적 디지털 금융 생태계 구축이 '한국형 AI 디지털 금융 혁신'을 실현하는 시금석이라는 점이다.

이제 우리 금융권은 절박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기존 관행에 안주할 것인가? 아니면 대다수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새로운 K-금융의 시대를 열어갈 것인가? 그 답은 전적으로 금융기관 수장들이 결정할 몫이다.

김창권 대기자 ckckck1225@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