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10년 만에 최악의 기업 파산…수출 전망도 어두워
올해 상반기 독일은 10년 만에 최대 규모의 기업 파산 사태를 겪었다. 러시아 TV 웹사이트가 6월 28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독일 경제 추적 기관인 ‘신용 개혁(Creditreform)’ 회사의 연구 결과 올해 상반기에만 약 11,900개의 독일 기업이 파산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 증가한 수치로, 약 14만 1천 명의 근로자가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 개혁’의 경제연구 책임자인 파트리크-루드비히 한치는 “일부 긍정적인 신호가 관측되기는 하지만, 독일 경제는 여전히 구조적 위기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수요 위축과 비용 상승, 지속적인 변동성 등 복합적인 요인이 기업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계속되는 높은 파산율은 연쇄 반응을 일으키고 있으며, 향후 6개월 동안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독일 경제는 이미 2년간의 침체를 겪고 있으며, 2025년 1분기에는 국내총생산(GDP)이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글로벌 수요 위축과 함께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경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독일 뮌헨경제연구소(Ifo)가 발표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독일 수출업체들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 가능성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인해 6월 수출 기대 지수가 -7.4로 하락했다. 이는 5월의 -5.0에서 추가 하락한 수치로, 제조업체들이 향후 3개월 간 해외 판매 전망에 대해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나타낸다.
클라우스 볼라베 Ifo 조사담당관은 “미국의 관세 위협은 여전히 협상의 테이블 위에 있으며, 유럽연합과 미국 간에는 아직 실질적인 합의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이러한 불확실성이 독일 기업들의 수출 기대를 더욱 낮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4년 미국은 독일의 최대 무역 파트너였으며, 양국 간 상품 무역 총액은 2,530억 유로에 달했다. 그러나 현재의 글로벌 경기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무역 장벽에 대한 우려가 독일 경제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