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항공업계, 트럼프 정부의 항공기 부품 관세 제안에 강력 반발
미국 항공사와 항공우주 제조업체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제안한 항공기 및 부품에 대한 신규 관세 조치에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관세 부과가 미국 항공우주 산업이 70년 넘게 유지해온 무역 흑자를 위협하고, 국내 공급망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이 이끄는 상무부는 지난 5월 1일부터 민간 항공기 및 엔진을 포함한 부품에 대해 10%~20%의 관세를 부과할지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루트닉 장관은 워싱턴에서 이달 말까지 관련 기준을 설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항공우주산업협회(AIA)와 미국항공협회(A4A)는 이러한 조치가 미국 산업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AIA는 루트닉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수입 부품에 대한 관세는 수십 년간 구축한 산업 기반을 후퇴시키고, 민간 항공 제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항공우주 및 국방 수출은 2023년 기준 1,359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민간 항공 부문만 1,139억 달러를 차지했다. 해당 산업은 745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으며, 연구개발에는 345억 달러가 투자됐다. 현재 미국 내 약 10만 개 기업이 항공우주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총 고용 인원은 220만 명을 넘는다.
항공업계는 미국이 주도적으로 추진해온 ‘민간 항공기 무역 협정(Civil Aircraft Trade Agreement)’의 효과를 강조하며, 이미 84%의 부품 생산이 미국 내에서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머지 16%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해당 관세가 팬데믹 이후 여전히 회복 중인 민감한 글로벌 공급망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윌리 월시 사무총장은 “항공 산업을 무역전쟁에서 제외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항공우주산업협회는 현재 항공기 및 부품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신규 공급업체를 통합하고 생산 능력을 확장하는 데 최대 10년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델타 항공 또한 관세가 부과될 경우 외국 항공사들과의 경쟁력 저하와 예기치 못한 세금 부담 증가를 초래할 것이라며 현상 유지를 촉구했다.
이번 조치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제출 마감일은 6월 3일로, 업계는 미국 정부가 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해 관세 부과를 재고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