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트럼프 관세 대응 위해 2.2조 엔 규모의 중소기업 보호 대책 발표
일본 정부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강화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교도통신의 5월 27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총리 관저에서 ‘관세 대응 종합 대책 본부 회의’를 개최하고, 산업계의 우려에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일부 기업의 2025 회계연도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며, “중소기업 지원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일부 분야에서 영향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며 관세가 실제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 자금 순환 촉진과 소비 진작 등을 포함한 5대 비상대응책을 마련한 바 있으며, 이번 회의에서는 관련 조치의 철저한 실행을 각료들에게 재차 강조했다.
같은 날 자민당 내 관세인상 종합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한 아카자와 간사장은 최근 열린 미일 간 협의에 대해 “이전보다 더 솔직하고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며, “미국 측에 관세 조치 조정을 강하게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일본 정부가 2조 2천억 엔(약 155억 달러) 규모의 중소기업 보호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내각관방장관은 기자회견을 통해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고, 정부 대출 기관의 지원 조건을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AFP에 따르면 그는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은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자 최대 투자국 중 하나이지만, 현재 대부분의 수입 품목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에 더해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등 핵심 산업 품목에는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초 일본산 제품에 대해 24%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지만, 이후 이를 7월 초까지 보류하기로 하며 여운을 남긴 상태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관세 조치가 전면 철폐되기를 기대하며, 미국과의 협의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