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중 관세 30% 유지 가능성…중국 수출에 장기 압박 우려
미국과 중국이 90일간의 관세 휴전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30%의 고율 관세가 연말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국제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이는 미국의 대중 무역정책이 단기간에 완화되기 어려우며, 중국 수출 산업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질 것임을 시사한다.
블룸버그는 아시아, 유럽, 미국의 주요 투자펀드, 은행, 연구기관 22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올해 말까지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이 30%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전했다. 이는 양국이 관세 갈등을 완화하려는 조치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진전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시장의 인식을 반영한다.
이번 휴전 협정 이전 미국은 중국에 대해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예고했으나, 현재 수준도 여전히 중국의 대미 수출을 약 70%까지 위축시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제재로 작용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이번 합의가 단기적인 긴장 완화에 불과하며, 본질적인 갈등 해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노르웨이은행(DNB)의 켈리 첸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무역협상은 실질적 진전보다는 피상적인 합의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며, “2026년 미국 중간선거까지 양국의 입장 변화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설문에 참여한 전문가 22명 중 7명은 6개월 내 관세율이 30%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을 제기한 반면, 6명은 오히려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 예상했다. 예측된 최대 관세율은 65%, 최소는 10%였다. 미중 협상이 진전을 이룰 경우, 관세율은 최고 60%에서 최저 3%까지 약 20%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첫 임기 중 부과했던 관세가 현 시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며, 향후에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는 관세 인하가 중국에 대한 중대한 양보로 해석될 수 있어, 트럼프 지지층의 반발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현재 미국의 대중 평균 관세율을 약 12%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중국은 오는 5월 19일 4월 산업생산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며, 이는 미국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반영하는 첫 공식 경제 지표가 될 전망이다. 블룸버그는 4월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5.9%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3월의 7.7%보다 낮은 수치다.
블룸버그 경제연구소의 슈창과 취톈스는 “관세 충격이 중국 제조업 활동에 이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으며, 수출 감소에 따른 생산조정이 산업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무역정책이 2025년 세계 경제의 주요 변수로 남아 있음을 시사한다. 관세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부양책에 대한 회의적 전망은 중국의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위안화는 연말까지 달러당 7.20선 근방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이며, 상하이 및 선전 300지수는 3900~4000포인트 범위 내에서 제한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