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정전 사태, 재생에너지와 전력망 안정성 논쟁 불붙다

2025-05-02     유정우
사진=뉴시스 제공.

AFP 통신이 4월 30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이베리아 반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한 지 이틀이 지난 지금도, 전력망의 근본적 구조와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스페인 전역에서 확산되고 있다. 당국은 주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입장을 내놓았지만, 정전의 배경과 향후 에너지 수급의 안정성 문제는 정치적·사회적 쟁점으로 급부상했다.

보수 성향의 일간지 ABC는 30일 자 1면에서 “원전 부족과 재생에너지 열풍이 전력망 마비를 초래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같은 우파 성향의 '르 몽드'도 최근 몇 년간 전문가들이 재생에너지 확산에 따른 위험을 경고했지만, 정부가 이를 무시해 왔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스페인 전력망 운영사인 Red Eléctrica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양광과 풍력이 전체 전력 생산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14년 대비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반면, 원자력 발전의 비중은 20%대로 감소해 태양광·풍력 발전량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스페인 정부는 에너지의 녹색 전환을 확고히 지지하며, 향후 10년 내 원전 전면 폐쇄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정전 사태를 계기로 전문가들과 업계 일각에서는 전력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과 풍력 같은 변동성이 큰 에너지원의 비중이 커지는 상황에서,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Red Eléctrica의 모회사는 지난 2월 말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서 “재생에너지가 대량으로 전력망에 유입되고 있지만, 이를 제어할 기술적 대응 능력이 부족하다”며, 이로 인해 수요-공급 불균형과 대규모 정전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실제로 이번 정전 이후 일부 전문가들은 태양광·풍력의 비중이 큰 현재의 전력 구조가, 적절한 제어 기술 없이 운영될 경우 시스템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망 운영사 대표 비아트리스 코레도는 30일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재생에너지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이라며 “28일 정전과 재생에너지의 직접적 연관성은 없다”고 반박했다. 생태전환부 장관 사라 아거슨 역시 같은 날 인터뷰에서 “과거 유사한 수요와 구조 속에서도 시스템은 충분히 잘 작동해왔다”며, 재생에너지를 비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한편, 페드로 산체스 총리는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정전을 원전 부족 탓으로 돌리는 사람들은 공공연히 거짓말을 하거나 무지를 드러내고 있다”며 정치권의 비판에 강하게 맞섰다.

정전 사태 이후 스페인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재생에너지 기반 확대에 대한 논쟁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