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L, 美 무역 규제로 일부 대미 소포 운송 중단… 국제 전자상거래에 '경고음'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4월 20일 보도를 통해 글로벌 물류 대기업 DHL이 미국의 새로운 세관 규제와 무역전쟁의 여파로 인해 일부 대미 소포 운송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는 국제 전자상거래와 글로벌 공급망에 심각한 파장을 예고하는 조치로 평가된다.
보도에 따르면, DHL은 4월 21일부터 미국으로 발송되는 일부 소포, 특히 800달러 이상의 B2C(기업-소비자 간) 화물에 대해 운송을 일시 중단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 세관의 새로운 규정이 4월 5일부터 적용되며, 800달러를 초과하는 수입 화물에 보다 엄격한 통관 절차 및 추가 서류 제출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DHL은 통관 시스템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나, 이번 조치에 대해 "중대한 변화"라고 평가하며,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미국으로 발송되는 일부 고가 소포가 수일간 지연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 B2B(기업 간 거래) 화물은 당장은 영향을 받지 않지만, 지연 가능성은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DHL은 독일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상업 물류 기업 중 하나로, 이번 결정은 새로운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첫 공식 대응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미국의 이번 관세 강화 조치는 4월 5일 자로 공식 발효되었다.
물류 컨설팅사 TI 인사이트의 CEO 존 매너스 벨은 “이번 결정은 글로벌 무역 체계가 구조적으로 흔들리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징후일 수 있다”고 분석하며, “관세 증가와 복잡한 행정 절차로 인해 우체국 및 민간 운송 기업들이 점점 더 대응하기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가 “국제 전자상거래에 실질적 피해를 주며, 매일 미국으로 들어가는 수백만 개의 소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이로 인해 미국 소비자는 더 높은 비용을 부담하게 되고, 공급망 불안으로 인해 상품 부족 현상도 초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DHL은 매년 15억 개 이상의 소포를 전 세계로 배송하며, 약 60만 명의 직원을 보유, 220개 국가 및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글로벌 물류 강자다.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840억 유로(약 970억 달러)"를 넘어서며, 국제 물류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막대하다.
이번 DHL의 운송 중단 결정은 단순한 물류 이슈를 넘어, 글로벌 무역 질서의 균열과 전자상거래의 위기 가능성을 드러내는 상징적 사건으로 해석되고 있다.
유정우 기자 seeyou@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