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세계 상품 무역 전망 ‘성장’에서 ‘감소’로 하향
미국 관세 정책이 핵심 변수
세계무역기구(WTO)가 글로벌 상품 무역 전망을 급격히 하향 조정하며,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세계 무역과 경제 전반에 심각한 하방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싱가포르 '연합조보'가 4월 1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제네바에 본부를 둔 WTO는 이날 발표한 최신 ‘글로벌 무역 전망 및 통계’ 보고서에서 2025년 전 세계 상품 무역 증가율을 기존의 3.0%에서 -0.2%로 대폭 낮췄다. 이는 작년 10월 예측치보다 3.2%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사실상 ‘성장’에서 ‘감소’로 전환한 것이다.
WTO는 이러한 조정의 주요 원인으로 미국이 최근 단행한 고율 관세 조치와 관련된 정책 불확실성을 꼽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철강과 자동차 등 주요 수입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이른바 '상호 관세'를 확대 시행했다. 그러나 이후 돌연 수십 개 국가에 대한 관세 부과를 철회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WTO 사무총장 응고지 오콘조 이웨알라는 “미국의 관세 조치가 세계 무역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며 “정책 불확실성은 특히 취약한 경제에 가장 큰 충격을 주며, 글로벌 경제 회복을 저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광범위한 관세 정책을 재개할 경우, 전 세계 상품 무역 증가율은 0.6%포인트 추가 하락하고, 간접적인 파급 효과로 인해 최대 0.8%포인트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2025년에는 전체 무역 감소폭이 최대 1.5%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2020년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최빈개도국들에게는 심각한 위협이 될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북미의 수출이 12.6%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시아 지역은 상대적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수출입 모두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고, 유럽 지역 역시 수출 1.0%, 수입 1.9%의 완만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WTO는 미중 무역 갈등의 여파로 중국이 북미 외 지역으로의 수출을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수출은 4~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미국의 섬유, 의류, 전기 장비 등 산업에서 발생한 공백을 메우는 데 다른 국가들이 기회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보고서는 보호무역주의 확산이 가져올 파급력을 다시 한 번 경고하고 있으며, 글로벌 무역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다자 협력의 중요성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