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정책 재가동…의약품·반도체·토마토 등 새로운 무역 장벽
미국이 다시금 관세 카드를 꺼내 들며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AFP 통신에 따르면, 4월 14일 보도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의약품과 반도체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위한 첫 조치를 시작했으며, 단 며칠 전 전자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유예한 직후였다.
미국 상무부는 이들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개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주요 산업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같은 날 저녁, 워싱턴은 멕시코산 토마토에 대한 면세 수입 협정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내 소비되는 토마토의 90% 이상이 멕시코산으로, 오는 7월 중순부터 약 21%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는 미국 내 농산물 가격과 공급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다.
한편, 지난주 전자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가 유예되며 안도감을 보였던 시장은 이번 발표로 다시 불안에 휩싸였다.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관세 시행이 “한두 달 내” 가능하다고 밝혀 업계의 긴장을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협상 의지를 내비치며 “자동차 제조업체를 돕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 누구도 해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자동차 산업에 부과된 관세를 일시적으로 면제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기업들이 공급망을 재조정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캐나다, 멕시코 등지의 공장을 미국 본토로 이전하는 데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일시적 유예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다시 강경한 무역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 경제의 냉각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