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9년 만에 ‘지방채 발행’예정…도로・철도 등 4,962억 원 규모
김동연 “민생경제 빨간불…비상상황 특별 대응 필요해” 후속 조치 도로 17개, 하천 37개, 광역철도 2개소 등 지방채 발행
경기도가 19년 만에 지방채를 발행한다.
경기도 김동연 도지사의 확장재정 기조에 따라 도로・철도 등 SOC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난 12월 김동연 도지사는 ‘2025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지금 우리 경제는 총체적 위기에 놓여있고 이미 민생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비상한 상황에는 특별한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과감한 확장재정을 이어가는 것은 ‘사람 중심’ 경기도의 담대한 결심이자 해법이다.”라며 확장재정 기조를 밝혔다.
지난 1월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국가지원지방도로 개설, 하천정비 등 추진을 위해 올해 4,962억 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2006년 지방채(금융기관 차입) 발행 이후 19년 만이다.
경제 위기 상황 타개를 위한 확장재정기조에 따라 추가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경기도는 2022년부터 경제가 크게 악화되면서 재정방향을 확장재정 기조로 전환하고, 예산규모를 확대 편성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 예산규모는 ▲2023년 33조 8,104억 원 ▲2024년 36조 1,210억 원 ▲2025년 38조 7,221억 원으로 매년 7.25% 정도 늘었다.
그동안 계속 증가세를 보였던 ‘도세징수액’도 부동산 경기 침체 따라 ▲2021년 16조 7,987억 원을 정점으로 ▲2022년 15조 7,369억 원 ▲2023년 14조 6,418억 원으로 감소해 도 재정난이 심해지 고 있다.
지난 2024년 도세징수 규모도 10월 기준 12조 4,254억 원으로 간신히 목표액인 15조 942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도민 복리증진과 지방공기업 및 지역개발사업 지원에 필요한 자금 조달 공급을 목적으로 설치된 기금인 ‘경기도 지역개발기금’을 통한 자금 조달도 포화상태다.
경기도가 각종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개발기금으로부터 지난 2024년까지 빌려 쓴 자금 중 상환해야 할 금액이 2조 8,290억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이런 재정 사정을 감안해 도로, 철도 등 SOC 사업(57개)을 지방채 발행을 통해 추진할 방침이다.
2025년 올해 지방채 발행 사업은 우정~향남 도로 확장・포장사업(올해 사업비 316억 원), 화성 갈천~오산 가수 도로 확・포장사업(250억 원), 평택 안중~화성 조암2 도로 확・포장사업(150억 원) 등 국지도 17개사업, 포천 왕숙천 수해상습지개선사업(92억 원), 남양주 용정천 수해상습지개선사업(42억 원) 등 37개 사업, 도봉산~옥정 광역철도사업(1,277억 9,000만 원) 등 광역철도 2개사업,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사업(430억 원) 등이다.
경기도는 올 상반기 중 증권사 등을 대상으로 모집공채(도가 직접 채권 발행해 돈을 빌리는 것) 방식으로 지방채를 발행할 예정이다.
정부가 운영 중인 ‘공공자금관리기금’의 이자율이 현재 3% 초반이어서 이보다 낮은 수준으로 자금 조달이 가능해 이자 부담을 덜 수 있다는 판단이다.
모집공채 방식으로 지방채 조달 시 이자율은 국채금리(3년물) 수준(2.5%) 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올해 지방채를 발행하는 것은 재작년부터 추진 중인 확장재정의 일환으로 보면 된다.”며 “현재 각종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개발기금에서 자금을 최대한 차입하고 있는데, 지방채 발행을 통해서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