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IN] 무너져 내리는 지방 부동산경기, '특단의 대책' 절실

지방 미분양 물량이 5만3176가구로, 전체의 75.8%

2025-02-24     강창수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부동산 시장도 양극화 추세가 뚜렸하다.

강남구는 서울에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에 일주일 만에 상승폭 3배 뛰었다.

부동산원, 2월 셋째 주 아파트가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주간 상승률이 0.02%에서 0.06%로 상승했다.

하지만 강북 14개구는 0.01% 하락해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

지방 부동산 경기는 아우성이다.

국토교통부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12년 만에 처음으로 7만 가구를 넘어섰다. 이 중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미분양 물량이 5만3176가구로, 전체의 75.8%에 달한다. 

지방의 쌓이는 미분양 부동산으로 지방의 건설 경기 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지방소멸이 가속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수도권 아파트 분양은 '공급 절벽' 상황이다.

1년 새 분양 40% 급감하여 .13.4만 8.3만가구로 감소했다.

경기침체·대출규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이에 10대 건설사도 지방 부동산 개발에는 철저하게 몸사린다.

수도권 1월 분양 물량은 '제로'다. 올해 아파트 분양 '뚝'이고, 최악 공급 한파를 예고하고 있다.

'불황·대출규제·공사비' 악재로 올 아파트 공급 13.5만가구로 전망되고 있다.

3년 전보다 16만가구 넘게 줄었다.

광주·대전도 지난달 분양 실종되었고 대형 건설사 올 물량도 30% 줄어 들었다.

이와 관련 지방 부동산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稅혜택 등 공급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건설업·부동산 침체 속 내수 부진으로 ‘일자리 혹한기’상황과도 직결되어 있다.

정부가 "지역 건설 살리자"고 정부 소매 걷었는데 효과는 불분명하다.

민생경제점검회의를 통해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미분양 구입땐 우대금리를 적용하고 지방은행 가계대출 목표치를 확대하며.DSR 적용시기 유예·완화 거부 등의 조치가 절실하다.

지역 균형 발전 필요성 차원에서도 지방 건설경기 개발사업으로 ‘활력’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강창수 기자 kcs9827@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