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유제품 수출 11.5% 급증… 아세안 및 글로벌 시장 확장 가속화
2024년 태국의 유제품 및 관련 제품 수출이 11.5% 증가하며 총 5억 8,200만 달러(약 19,623만 바트)에 달했다. 태국 상무부 차관 수차크린은 말레이시아(64.3%), 베트남(30.4%), 인도네시아(27.1%), 싱가포르(20.1%), 필리핀(19%), 미얀마(14.6%) 등 6대 주요 시장에서의 유제품 수출이 특히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고 밝혔다.
태국 유제품은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덕분에 아세안 시장에서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으며, 현재 수요가 높은 품목으로는 요구르트 및 젖산 음료, UHT 상온 우유, 혼합 두유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아세안 지역의 도시화 가속화로 인해 밀크티와 커피 등 유제품 기반 음료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라오스에서 태국 제품이 운송 우위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강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신흥 시장에서도 태국 유제품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싱가포르는 식품 수입 의존도가 높으며, 필리핀은 중산층 확대와 인구 증가로 인해 유제품 수요가 99%에 달하며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이러한 상황은 태국 기업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태국의 글로벌 시장 확장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현재 중국, 호주, 뉴질랜드, 칠레 등은 태국 유제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태국 기업들은 자유무역지대 정책을 적극 활용하여 시장 소비 트렌드에 맞춘 제품을 개발하고,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태국 정부는 아프리카와 남미 시장에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한국과의 자유무역협정 협상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한, 아세안-캐나다 자유무역협정의 최종 서명을 추진하여 무역 장벽을 낮추고 태국 유제품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 같은 노력은 태국 유제품 산업의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