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총리, 부가가치세 인상 철회…재무장관 제안에 반발
세제 개혁과 경제 활성화 방안 논의 지속
태국의 세제 개혁 논의가 논란을 빚는 가운데, 페툰탄 총리가 부가가치세 인상 계획을 철회했다. 방콕 특파원은 6일, 페툰탄 총리가 자신의 X 계정에 부가가치세를 15%로 인상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재무장관 피차이 춘하바기라의 제안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페툰탄 총리가 재무장관과 자문 그룹과의 회의를 마친 뒤 발표됐다. 앞서 피차이 재무장관은 부가가치세를 현행 7%에서 12%로 인상하자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이는 대중의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페툰탄 총리는 해당 제안이 국민들에게 부담을 줄 수 있음을 인정하며 하루 만에 이를 철회했다.
페툰탄 정부는 부가가치세 인상 방안을 철회했지만, 세제 구조 개혁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피차이 재무장관은 부가가치세 인상 외에도 기업소득세를 현행 20%에서 15%로 낮추고 개인소득세를 인하하자는 방안을 지지했다. 이러한 정책은 태국의 세제 구조를 글로벌 경쟁 환경에 맞추고 양질의 노동력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태국의 GDP 대비 조세수입 비율은 17%로 아시아태평양 평균인 19%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34%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부가가치세는 태국의 주요 세수원으로, 2022년 기준 전체 세수의 25%를 차지했다. 현재 부가가치세율은 1992년 이후 7%로 유지되고 있으며, 과거 일부 정부는 이를 10%로 인상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실행되지 못했다.
태국과 달리 인도네시아는 내년에 부가가치세를 11%에서 12%로 인상할 계획을 발표하며, 태국과 비교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은 태국 정부가 세제 개혁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민 부담을 최소화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