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中투자 유치에 망설여
제조대국으로 만드는 '메이드 인디아' 정책 난항 중국 기업의 참여를 허용하면 인도 산업이 충격을 받아
인도를 제조대국으로 만드는 '메이드 인디아' 정책이 기대만큼 잘 안 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애플이 인도에서 최신 모델을 생산한 사례는 있지만 산업 투자, 일자리 창출,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 제고 등 목표 달성에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으로부터의 투자 유치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몇 년간 인도 정부는 BYD 등 중국 기업의 투자 방안 수백 건을 부결시켰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은 인도에 생산기지를 건설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서방과의 무역 마찰과 생산원가 상승으로 중국 업체들이 생산 다변화를 추진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모디 정부는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규제를 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도 재무부는 7월 연례 경제보고서에서 중국으로부터의 투자를 허용하겠다는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이 문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중국과의 국경 충돌 상황에서 국내 제조업 활성화를 추진하는 한편 과도한 중국 의존을 피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인도는 거대한 대중 무역적자 문제도 안고 있다. 인도는 중국에서 전기 등 공산품을 대량으로 수입하고 철광석 등 일부 원자재를 중국에 수출한다.
아난타 나그스와란 인도 정부 수석 경제고문은 "인도와 중국 간 무역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것은 인도가 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도 정부는 중국으로부터의 투자 유치를 통해 대중 무역적자를 점차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발 투자 증가가 정치적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뉴델리에 본부를 둔 안보 분야 싱크탱크인 비베카난다재단의 프레레나 간디는 "중국 기업이 인도에 투자해 인도의 경제성장을 촉진하면 인도와 중국 사이의 안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정부는 지난 8월 비자 신청 전문 포털 사이트를 개설해 중국 기술자들의 비자 신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도의 한 스마트폰 제조업체 관계자는 "그동안 중국 직원을 위한 취업비자 신청은 정말 어려웠고, 10명이 비자를 신청해 5명만 발급받은 적도 있었다. ”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에 대한 경각심이 강한 인도 때문에 중국 기업의 추가 투자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뉴델리에 본사를 둔 글로벌무역연구 이니셔티브(gr&d) 설립자인 아자이 스리바스타바는 "'메이드 인디아' 프로젝트에 중국 기업의 참여를 허용하면 인도 산업이 충격을 받아 대량 파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