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특히 중국이 아프리카를 구애하는 이유?

현재 아프리카 수출의 약 5분의 1이 중국 아프리카인들의 중국의 지지율은 52%에서 58%로 상승, 반면 미국 지지율은 하락

2024-09-08     이창우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앤드류 해먼드는 런던 경제대학원의 LSE IDEAES 부교수가 7일 아랍뉴스에 기고한 핵심내용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4년 9월 5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에서 아프리카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고 7일 아랍뉴스가 전했다.

중국은 오랫동안 아프리카 국가들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의 세계적인 리더였다. 

그러나 중국이 이번 주에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의 3년마다 50명 이상의 국가 원수가 참석하는 회의를 개최하면서 대륙과 더 넓은 글로벌 남부에서 전략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미국은 아프리카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서유럽 국가, 걸프협력회의 회원국, 튀르키예, 인도 등 다른 주요 강대국들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최근 수십 년 동안 아프리카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가장 높았던 나라는 중국이다. 

이는 이번 주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주요 다자간 협력 메커니즘인 포럼에서 시진핑 주석이 향후 3년간 대륙에 500억 달러의 대출과 투자를 약속하면서 강조되었다.

2009년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아프리카의 최대 무역 파트너가 되었으며, 2023년 무역액은 2,820억 달러로 불과 25년 전의 120억 달러에서 크게 증가하여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현재 아프리카 수출의 약 5분의 1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2001년 이후 미국 달러로 4배나 증가했다.

포럼 기간 동안의 활동 외에도 보스턴 대학교의 글로벌 개발 정책 센터가 8월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대출 기관은 2023년에 아프리카에 46억 1,000만 달러 상당의 대출을 승인했다. 

이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연간 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투자 흐름이 크게 감소했다.

2000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의 대아프리카 대출 가치는 총 1,822억 8,000만 달러로, 중국이 아프리카 대륙 국가들에 대한 최고 대출 기관이 되었다. 

이는 세계은행 대출의 60% 이상, 아프리카개발은행 국채 대출 가치의 약 5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중국 자금의 대부분은 에너지, 운송, 정보 통신 기술 부문에 투자되었다.

중국이 아프리카에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지난 10년 동안 대통령, 총리, 외무장관 등 중국 고위 관리들이 아프리카 40여 개국을 약 80회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특히 일대일로 인프라 프로젝트와 대륙 개발을 더 잘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약 40개 아프리카 국가가 가입했다.

따라서 아프리카에서는 중국이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글로벌 경쟁은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처음에는 주춤했던 대응에서 이제 대륙에 대한 관심도 강화하고 있다.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중국-아프리카 연구 이니셔티브에 따르면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외국인 직접 투자는 10년 이상 미국을 능가하고 있다.

미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상품 교환 가치는 2023년에 700억 달러 미만으로 지난 20년 동안 약 50% 감소했으며, 미국은 이제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에 이어 대륙에서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 

중국이 아프리카에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지난 10년 동안에만 중국 고위 관리들이 아프리카 40여 개국을 약 80회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사실에서 잘 알 수 있다.

워싱턴에서는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적 우위가 커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지정학적 영향에 대한 경종이 울리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미국의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 이니셔티브 중 하나는 건강, 에너지 및 기후, 디지털 기술과 같은 부문에 초점을 맞춰 무역과 투자를 크게 늘리려는 '프로스퍼 아프리카'이다.

미국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유형의 예로는 잠비아와 콩고민주공화국을 가로지르는 800마일 이상의 교통 노선인 로비토 대서양 철도를 재부팅하여 앙골라 로비토 항구와 연결되는 물류 회랑을 만드는 이니셔티브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접근 방식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아프리카에서 역풍에 직면해 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된 갤럽 보고서에서 지난해 앤드류 해먼드는 런던 경제대학원의 LSE IDEAES 부교수이다.

한편, 이 기간 동안 중국의 지지율은 52%에서 58%로 상승했다.

중국과 미국의 강대국 외에도 서유럽의 국가, 특히 영국과 프랑스도 아프리카에 대해 더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카리브해 출신이자 최초의 비백인 출신인 데이비드 라미 영국 신임 외무장관은 브렉시트 이후 아프리카를 포함한 글로벌 남부와의 관계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고 싶다고 밝혔다.

영국은 아프리카, 특히 영연방 국가들과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장관들은 정기적으로 위대한 글로벌 무역 국가로서의 영국의 유산과 번영하고 성장하는 아프리카를 결합하고자 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불과 두 달 전에 이전 보수당 행정부를 교체한 최근 선출된 노동당 정부가 더 많은 영국-아프리카 투자 정상회의를 개최할 가능성이 높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이끄는 프랑스도 유럽 대륙에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관심이 있으며, 일련의 정상 회담 개최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프리카는 런던에서와 마찬가지로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된 파리의 외교 정책 우선순위였다.

러시아도 아프리카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집권하는 동안 대륙과의 무역은 크게 성장했으며, 그는 러시아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는 2019년 아프리카-러시아의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첫 번째 아프리카-러시아 정상회의를 개최했다.

따라서 중국, 미국, 유럽, 아시아, 중동의 강대국 간에 진행 중인 파워 게임은 남은 10년 동안만 강도가 높아져 대륙 국가들에게 앞으로 더 많은 외교적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프리카 신흥 시장의 성장 잠재력뿐만 아니라 국제 안보 고려 사항도 반영되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