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 인사이트]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중국은 2020년 미중 기술 패권에서 승리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에 집중 투자한다고 천명했다.
이와 관련 독일 싱크탱크 메르카토르중국연구소(MERICS)의 캐롤라인 마인하트 애널리스트는 “중국제조 2025의 핵심은 외국 하이테크 부품을 국산으로 교체하는 것”이라며 “중국이 최근 추진하는 첨단기술 투자도 명확하게 주장하지는 않지만 그 목표는 변함이 없다. 중국 정부는 철저한 계획경제하에 실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실사례가 2024년도에도 여실히 진행되고 있다.
반도체 첨단 기술, 5G, 자율주행에 이어 AI기술을 주도하기 위해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등에 대한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6일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이들 중국의 3대 빅테크들의 지난 상반기 설비 투자 합계는 502억 위안(약 9조 3,537억)으로, 전년 동기 230억 위안(약 4조3000억원)대비 2배 이상을 기록했다.
AI 모델 훈련과 관련된 프로세서와 인프라 시설 투자에 집중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러한 막대한 투자가 '기술패권'을 차지하려는 강력한 의지에서 발현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등에 대한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 중국의 3대 빅테크들의 지난 상반기 설비 투자 합계는 502억 위안(약 9조 3,537억)으로, 전년 동기 230억 위안(약 4조3000억원)의 2배 이상을 기록했다. AI 모델 훈련과 관련된 프로세서와 인프라 시설 투자에 집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