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 신흥시장 주가 긍정 평가... 인도 비중 높일 듯

MSCI 지수 평가에서 인도가 중국 다음으로 비중이 20% 이상 높아질 것으로 전망 세계 투자자들이 여전히 인도 주식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분석

2024-07-28     김소진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 인도의 주가 급등과 주식 매출, 수익성 증가가 인도를 민성 MSCI 신흥시장 지수의 5분의 1 가까이 끌어올렸다고 보도했다.

세계 투자자들의 어려움이 부각되면서 인도에 대한 열기가 뜨겁고 값비싼 증시를 상대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다음 달로 예정된 MSCI 지수 평가에서 인도가 중국 다음으로 비중이 20% 이상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격차 해소는 신흥시장 투자자들이 올해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로 떠오르며 이미 뜨거운 인도 시장에 자금을 투입할지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인도 주식시장의 내년 전망 주가수익률은 24배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또한 수십억 달러의 패시브 인덱스가 자금 유입을 추적하도록 유도하거나, 능동적인 관리자가 정해진 기준에 따라 위험의 개방성을 조정하도록 유도하는 신흥 시장 지수의 힘을  강조하고  있다.

10년 또는 11년 전만 해도 인도의 비중은 6~7%에 불과했다. 지금 20프로에 육박하고 있다.

이와 관련 에르메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글로벌 이머징 마켓 디렉터인 쿤자르 가말는 "인도 주식은 이미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이러한 지수 변화는 우리 같은 장기 투자자 또는 '안전한계' 평가치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투자자들에게 관심을 끄는 딜레마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현재 인도를 약간 과소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하향식 거시적 관점에서 인도라는 나라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다"라고 가라는 말했다.

국내 자금이 주식 펀드로 유입되는 것은 항상 핵심 요소다. 2016~2020년 인도 증시의 국내 순유입량은 연평균 120억 달러다.   하지만  2021~2023년 사이 연간 유입량은 290억 달러로 급증했다"고 발렌 레자와라 신흥시장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말했다.

이러한 자금 흐름과 가치 평가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직면한 어려움 중 하나는 과거 인도 주식을 놓친 비용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인도는 현지 통화로 따지면 세계에서 가장 잘 나가는 시장 중 하나이며, 달러로 따지면 최근 수십 년 동안 미국 시장과 보조를 맞추고 있다.

비카스 페르샤드 M&G인베스트먼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인도는 이른바 '배증주'나 최소 10배 이상 오른 종목의 글로벌 베스트 마켓이기도 하다.

페르샤드 국장은 "1년 만기 선물시장 수익률은 특히 인도에서 가장 주목받지 못하는 재무지표 중 하나다. 이것이 바로 투자자들이 20년 동안 인도의 수익을 놓친 이유입니다. 라고 말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MSCI 신흥시장지수에서 인도 구성주의 예상 주당순이익은 올해와 내년 모두 10% 안팎으로 다른 신흥시장과 비슷한 수준이다.

인도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다른 신흥시장보다 속도가 빠르지는 않다. 수닐 티루말레 UBS 글로벌 이머징마켓 전략가는 "인도의 이익 성장은 실제로 미미하다. 그고 평가했다.

그러나 동아시아 지역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은 지난 몇 년 동안 감소했지만, 인도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은 부분적으로 소매 투자 붐에 의해 추진되었기 때문에 정반대였다.

많은 인도 가정은 그들이 생각하는 낮은 금리를 상쇄하기 위해 국내 주식에 자금을 투자한다.

국내 주식 매입은 통상 산업신용투자은행 등 대형 은행이 운용하는 펀드로 매월 자동이체를 통해 이뤄지는데, 이런 매입은 외국 기관의 인도 철수 영향을 손쉽게 상쇄한다. 

티루말라이는 "외국 소유권은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윌리엄 블레어 투자운용의 비비안 라이언 서스턴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전 세계 투자자들이 여전히 인도 주식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인도 주식의 비중이 커지면서 인도에서 매력적인 가치주를 찾기가 어려워지거나 자신의 평가지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