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신임 대통령, 모든 국가들과의 균형을 약속

이란은 압박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미국에게 경고 페제스키안은 대통령 선거운동 이후 다른 온건파와 개혁파 인사들과 연대

2024-07-14     김소진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새로 선출된 이란 대통령은 이란 정부가 국익과 평화를 위한 전제 조건에 따라 "모든 국가와의 관계에서 균형"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지만, 미국에게 이란은 "압박에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13일 아랍뉴스가 보도했다.

마수드 페제스키안은 12일 오후 테헤란 타임즈에 기고한 "나의 새로운 세계에 대한 나의 메시지"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최근의 대통령 선거를 "놀라운 안정성을 보여주었다"고 칭송하고 "내가 선거운동 중에 한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다짐했다. 

69세의 심장외과 의사이자 오랜 국회의원인 페제스키안은 강경파인 전 핵 협상가인 사이드 잘릴리에게 지난 5월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한 에브라힘 라이시 대통령의 후임으로 7월 5일 실시될 결선투표에서 승리할 것을 약속했다.

그는 자신의 메시지에서 그의 행정부가 "우리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말했고, 아랍 국가들이 "모든 외교적 활용"을 사용하여 10월 7일에 시작된 가자 지구에서 진행 중인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지속적인 휴전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란은 오랫동안 무장단체 하마스를 지지해 왔으며, 페제스키안은 수요일 ISMAIL Haniyeh 대표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플라스테시난 저항군"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어려운 시기에 꾸준히 우리의 곁을 지켜준 러시아와 중국과의 관계를 환영했습니다. 그는 모스크바는 "가치 있는 전략적 동맹국"이며 그의 정부는 양국간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3년째에 접어든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지원"할 용의를 표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한 중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를 기대한다면서,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를 정상화하기 위한 협상을 7년간의 외교적 긴장 끝에 중재한 것에 박수를 보냈다고 말했다.

페제스키안은 "우여곡절"을 알고 있는 관계에도 불구하고 "상호 존중의 원칙에 기초하여" 유럽 국가들과 건설적인 대화에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8년 5월, 미국은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독일도 포함된 핵협정인 '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했다. 

그 이후 서방 강대국들은 이슬람 공화국이 핵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우라늄을 전례 없는 60% 수준, 거의 무기급 수준으로 농축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은 이란에 대해 주로 경제 제재를 가했다.

페제스키안은 유럽 국가들이 미국의 탈퇴 이후 "효과적인 은행 거래, 미국의 제재로부터 효과적인 기업 보호, 이란에 대한 투자 촉진"을 보장하기 위해 한 약속을 어겼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그는 이란과 유럽 사이에 여전히 많은 협력 기회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미국에 연설하면서 이란이 "압박에 대응하기를 거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란은 2015년 JCPOA에 성실히 가입했고 우리의 의무를 완전히 이행했다"고 덧붙였다. 

페제스키안은 미국의 지원이 "우리 경제에 수천억 달러의 피해를 입혔고 제재로 인해 특히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이란 국민에게 말할 수 없는 고통과 죽음, 파괴를 일으켰다"고 말했다.

페제스키안은 서방 국가들이 "이 지역과 세계의 긴장을 줄이고 관리할 수 있는 역사적인 기회를 놓쳤을 뿐만 아니라 핵확산금지조약을 심각하게 훼손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란의 국방 교리에는 핵무기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란은 경제 제재 해제를 위해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행정부와 간접적인 대화를 가졌다.

페제스키안은 공개서한에서 미국 행정부가 2020년 이라크 인접국에서 미국의 드론 공격으로 사망한 이란의 지역 군사 활동 설계자 카셈 솔레이마니 장군을 암살해 '적대성'을 고조시켰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지역의 혼란과 긴장 관계 외에도, 이란의 대통령은 현지에서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는 이제 많은 사람들이 제재, 지속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실업률로 인해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는 분노한 국민들에게 여전히 강경파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행정부를 다루면서 약속한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페제스키안은 대통령 선거운동 이후 다른 온건파와 개혁파 인사들과 연대해 왔다. 그의 주요 옹호자는 2015 JCPOA에 도달한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전 외무장관이었다.

페제스키안은 자리프를 정권인수기간 전략평의회 의장으로 임명했다.

전문가들과 고문들로 구성된 이 협의회는 주요 각료직의 잠재적인 후보자들을 평가하고 원활한 리더십 이양을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