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금협회, 전 세계 금 광업 생산량 증가 지속 어려워
금광 생산량이 2016년, 2018년을 전후해서 정체기 새로 발견된 금광의 약 10%만 채굴 할 가치가 있는 양의 금을 함유 현물 금은 현재 온스 당 2294.3달러에 거래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금광은 갈수록 구하기 어려워지면서 생산량을 늘리기 힘든 상태라고 미국 소비자뉴스·비즈니스채널이 9일 보도했다.
존 리드 세계금협회 수석시장전략가는 "2024년 1분기 금광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4퍼센트 증가하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그런데 전체적인 상황은 금광 생산량이 2016년, 2018년을 전후해서 실질적으로 정체기에 접어들었다고 생각을 하고 있고 그 이후로는 저희가 성장을 전혀 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2023년 금광 생산량은 전년 대비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2022년 성장률은 1.35%로 전년 대비 2.7%를 기록한 데 이어 2020년에는 전 세계 금 생산량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대비 1% 감소했다.
리드는 "금광업이 2008년을 전후해 10년에 걸친 급속한 성장을 거치면서 이제는 지속적인 생산량 증가를 유지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잠재력을 지닌 많은 지역이 이미 탐사되었기 때문에,세계 각지에서 새로운 금광을 찾는 것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대규모 금 채굴은 막대한 탐사·개발이 필요한 자본집약적 프로젝트로, 생산에 들어가는 데 평균 10~20년이 걸린다.
심지어 탐사 과정에서도 금광을 발견해서 개발할 수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전 세계적으로 새로 발견된 금광의 약 10%만이 채굴할 가치가 있는 양의 금을 함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18만7000톤의 금이 채굴되었으며 대부분이 중국, 남아프리카, 호주에서 왔다.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채굴 가능한 금 매장량은 약 5만7000t이다.
리드는 탐사뿐만 아니라 정부 허가증 취득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승인을 받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며 이로 인해 금광 채굴이 더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광업 회사가 생산하기 전에 면허와 면허를 취득하는 데도 수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리드는 그 외에도 많은 광산 프로젝트가 도로, 전기, 물 등 기반 시설이 필요한 외딴 지역에 위치해 있어 광산 건설과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한다고 말했다.
그는 "금을 찾고, 채굴하고, 자금 조달하고, 운영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몇 달 동안 중국의 강력한 수요에 힘입어 금값이 최고치로 올랐다.현물 금은 현재 온스당 2294.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