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에너지 집약산업 국외 유출 방지... '전력 보조금' 지원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중국의 보조금 지급 관행 모방 제조업 강국인 독일의 위상 유지 위해 숄츠 총리는 자당의 전력 보조금 추가 지원에 신중한 입장 견지
독일 정부가 에너지 집약산업 국외 유출 방지를 위한 추가 전력 보조금 지급 방안을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 GDP 대비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1995년 21.6%에서 2015년 15.2%로 하락 추세다.
독일 GDP에서 제조업의 비중은 1/4 정도이며, 그중 자동차 산업은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약 80만 개의 일자리가 자동차 산업에 속해있다.
유럽 현지 언론 유렉티브 등의 보도를 인용한 유럽KBA에 따르면 독일이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독일 주요 제조업체의 국외 유출이 우려되고 있으며, 제조업 강국으로서 독일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 집약산업에 대한 전력 보조금 추가 지원 방안이 정부내 주요 현안으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특히, 4,500억 달러의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산업보조금 및 중국의 보조금 지급 관행 등을 배경으로, 독일도 산업 보호를 위한 적극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립정부 최대 정파 사민당(SPD)는 에너지집약산업에 내년부터 향후 10~15년간 킬로와트시(KWh) 당 5~7(유로)센트의 전력 보조금을 정부가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현행 전력 보조금제도에 따라, 에너지집약산업은 전체 에너지 수요의 70%에 대해 KWh 당 13센트를 지불. 이는 민간 소비자 요율 KWh 당 30~40센트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연립정부 자유민주당(FDP) 크리스티안 린트너 재무장관은 에너지집약산업 보조금 추가 지급보다 자유시장원칙 확립 및 모든 소비자에 대한 동일한 전력 감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주장해왔다.
또한, 일부 에너지집약산업에 대한 특혜는 가계, 중소기업 등 기타 소비자 및 납세자의 희생을 초래하고, 에너지집약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다른 분야의 경쟁력 약화를 통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한편, 사민당 소속 올라프 숄츠 총리는 자당의 에너지집약산업 전력 보조금 추가 지원 요구에 대해 다소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숄츠 총리는 현재 가장 시급한 것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전력 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통해 독일의 전력 요금을 전반적으로 인하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통상의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보조금을 통해 해결할 수 없으며, 에너지집약산업에 대한 추가 지원 관련 어떠한 약속도 불가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