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러시아 무역 수지 흑자 68.3%↑

러시아 자동차 판매, 한국차 급감하고 중국차 2배이상 증가

2023-03-30     유정우
사진=뉴시스 제공.

2022년 러시아 총 교역액은 8505억 달러 (2021년 대비 8.1%↑), 수출은 5915억 달러 (19.9%↑), 수입은 2591억 달러 (11.7%↓)를 기록했다고 최신호 유로저널이 보도했다.

특히, 서방 세계의 교역 규제로 수입이 급감하면서 무역 흑자는 전년 대비 68.3% 증가한 3,32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러시아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주요 수출 품목 증가율 (금액 기준 2021년 대비)로는 니켈 190%↑, 비료 54.3%↑, 화석연료(가스,원유) 42.8%↑, 구리 16.7%↑, 목재 15.2%↑, 식료품 14.8%↑, 철강 8.8%↑를 보였다.

주요 수입 품목 감소율 (금액 기준 2021년 대비)로는 차량 -41.5%, 가구 -32.3%, 귀금속 -28.8%, 가죽제품 -27%, 광석·슬래그 -26%, 유리 -21.5%, 의류 -20.8% 를 나타냈다.

한편, 한국은 우크라이너-러시아 전쟁 발발전(무역 재제 전)에는 러시아가 10 대 교역대상국이었으며,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비중은 전체 수입의 무연탄 40.8%,우라늄 33.9%(2.5억 달러),나프타 23.4%(43.8억 달러),유연탄 16.3%,천연가스 6.7%였다.

반면, 러시아로 수출 품목의 기업 수는 화장품 444개사, 기타 플라스틱 239개사,자동차 부품 201개사, 합성수지 137개사, 아연도강판 30 개로 우역 재제이후 이들 수출 기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2월 러시아 시장의 승용차 및 경상용차(Light Commercial Vehicle, LCV) 누적 판매량은 4만1천대로서 전년 동기 대비 약 62% 감소했다.

반면, 올해 1-2月 중고차 판매량은 신차 공급이 부족한 가운데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86만여대 기록했고, 향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방 세계의 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한국의 경우 현대, 기아의 러시아 자동차 시장 합산 점유율은 22.6%에서 17.8%로 감소한 반면 중국 제조사들의 합산 점유율은 17.9%로 전년(6.9%)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