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수년간 반발에도 연금 개혁 추진 예상
마크롱 대통령,“올해는 연금 개혁의 해가 될 것” 마크롱 정부, 최소 연금 상한액 인상 검토하고 있어 프랑스 연금 개혁, 주요 산업들의 반발로 이어질 가능성 높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화요일 새로운 연금 개혁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10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하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수행하고 있지만 연금 제도를 정비하는 것은 2017년 첫 당선 시절부터 주장한 내용이다.
프랑스의 법정 정년은 현재 62세로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많은 선진 국가보다 낮으며 공공부문은 근로자들이 62세가 되기 전에 은퇴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다.
2019년 말 마크롱 정부는 일정 점수를 획득하면 은퇴할 수 있는 단일 포인트 기반 시스템을 제안했으나 공공 부문 노동자들의 강한 반대와 시위로 2020년 초 보류되었다.
마크롱 대통령은 신년사에서“올해는 연금 개혁의 해가 될 것”이라며“앞으로 몇 년간 시스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번 개혁이 통과할 가능성이 5년 전보다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과거 마크롱 대통령은 정년을 62세에서 65세로 올릴 수 있지만 2031년까지 매년 약 4개월씩 증가하면서 점진적으로 올릴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다.
프랑스 언론들은 정부가 국민들이 이 개혁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소 연금 상한액을 인상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협정들에 대한 새로운 변화는 영향을 받는 산업들의 반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프랑스의 비교적 낮은 정년은 공공 재정의 발목을 잡아 국가연금자문위원회는 지난해부터 2032년까지 매년 약 100억 유로(한화 약 13조 3568억 원)의 연금 적자를 추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