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국 로봇산업 경쟁력 최하위, 제도적 지원 필요해”
로봇 수요는 1위, 종합경쟁력은 6개국 중 꼴찌 필수부품 대일 의존도 높아
지난 9월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글로벌 로봇산업의 현황과 한국의 상황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이 전세계에서 로봇 수요는 가장 높은 반면, 로봇 산업 글로벌 경쟁력은 주요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로봇산업은 ▲제조업 현장에서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는 산업용(제조) 로봇 시장 ▲의료용 수술로봇 시장 ▲가정용 청소로봇 시장 ▲군사용 정찰로봇 시장 등 서비스용 로봇 시장으로 구성된다.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243억 달러(원화 약 32조 1,489억 원)로 한국의 로봇 시장은 30억 달러(원화 약 3조 9,690억 원) 규모로 전 세계 시장의 12.3%를 차지한다.
글로벌 로봇 시장이 연간 9%씩 성장세를 보일 때 한국 로봇시장은 연간 2%의 성장했다.
한국은 노동자 1만명 당 설치된 로봇 대수를 의미하는 ‘로봇밀도’가 전 세계 1위로,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로봇 수요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평균 로봇밀도는 126대인데 한국은 932대이며 일본은 390대, 독일 371대, 미국 255대, 중국이 246대 등으로 제조업 강국들과 비교했을 때도 한국은 현격히 높은 로봇밀도를 기록했다.
하지만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한국 로봇산업 경쟁력은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뒤떨어졌다.
산업연구원의 연구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로봇산업 종합경쟁력은 미국, 일본, 중국, 독일, 스위스 등 주요 6개국 중 6위로 최하위 수준이다.
일본이 종합경쟁력 1위, 독일이 2위, 미국이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보조금 지급, 연구개발(R&D) 비용 100% 공제 등 적극적인 정부 주도의 로봇산업 투자와 집중적인 글로벌 로봇 기업에 대한 공격적 입수합병(M&A)을 통해 체력을 길러왔다.
로봇 부품 생산 역량을 의미하는 조달 부분에 있어 한국은 특별히 취약하며, 핵심부품 조달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부품 조달 경쟁력에서 만점에 가까운 점수(9.8점, 10점 기준)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에 비해 한국의 점수(6.7점, 10점 기준)는 6개국 중 6위를 차지했다.
특히, 한국은 로봇 감속기(61%), 서브모터(65.1%) 등 핵심부품의 대일 의존도가 매우 높고 기타 필수부품의 경우에도 로봇 가격의 35% 이상을 차지하는 구동부 부품은 국산화율이 15%에 불과했으며, 한국 첨단산업의 고질적인 약점으로 꼽히는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율도 24%에 머물렀다.
한편, 한국의 로봇기업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분야는 ‘기업 간 연계’로 조사됐다.
한국로봇산업협회에 따르면 기업별로 전문 영역에 특화한 뒤 상호 분업하는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과 달리 한국은 각 기업이 가치사슬 전 단계를 담당, 비용이 증가하고 경쟁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인력의 부족으로 하드웨어 전문가가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책임져야 하는 등 분업구조 미형성과 인력의 문제점을 모두 나타내고 있었다.
로봇 인력 경쟁력에 있어 한국은 미국, 일본, 독일에 모두 뒤져 있으며, 로봇 전문인력 부족률(35%)도 매우 높았다.
전경련 국제본부 김봉만 본부장은 “4차산업의 핵심분야인 로봇산업은 제조업 경쟁국들이 미래의 산업 주도권을 위해 전략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분야 중 하나”라며 “한국은 부품의 수입 의존도 개선,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 내 분업 구조 활성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신산업인만큼 일상 속에서 알지 못하는 기존 규제들이 서비스 발달에 발목을 잡지 않도록 선제적인 규제 혁신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