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브렉시트 영향으로 영국민 60억 파운드 더 지출...인플레이션 부채질

기록적인 경기 침체와 악화되는 생활비 위기로 EU 탈퇴 기로에 OECD, 영국의 성장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처졌다고 발표 G7 국가 중 영국은 팬데믹 이전 성장률을 회복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

2022-12-06     이창우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2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브렉시트는 영국 소비자들의 식료품비 청구서를 60억 파운드 가까이 증가시켜 가난한 사람들에게 가장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뜨거운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이와 관련 런던정치경제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2021년 말까지 최근 2년 동안 브렉시트가 가구당 식료품 청구서를 평균 210파운드 늘렸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이 대학은 보고서에서 EU 수입품에 대한 추가 검사 및 요구 사항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식품 가격이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런던정치경제대학은 브렉시트가 2019년 말부터 식품 청구서 증가로 이어졌다고 보고 기업들이 비용 증가를 예상하고 그에 맞춰 가격을 조정했기 때문이다.

또한 보고서는 저소득층의 임금 대비 식품 지출 비율이 부자들보다 높기 때문에 식품 가격 상승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특히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브리스톨대 교수이자 연구보고서의 공저자인 리처드 데이비스는 "EU 탈퇴 과정에서 영국은 무역 장벽이 거의 없는 깊은 무역 관계를 포기하고 화물이 통과하기 전에 많은 검사와 양식, 절차가 필요한 무역 관계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더 높은 원가에 직면해 있고, 대부분의 원가는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은 인플레이션이 수십 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올해 갈수록 악화되는 생활비 위기에 시달렸고, 임금이 인플레이션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경제 전반에 걸쳐 파업 물결이 일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데이비스는 "영국의 인플레이션율은 10월에 11%를 넘어 40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특히 EU와의 무역에 대한 비관세 장벽이 높아진 것이 높은 인플레이션율의 한 요인이다."고 밝혔다.

영국은 2021년 초 유럽 단일시장과 관세동맹에서 탈퇴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영국은 이후 EU와 브렉시트 이후 무역 및 협력에 합의했고 EU 회원국과는 무관세 무역을 거의 유지했다. 그러나 기업은 여전히 비용 급증, 번거로운 절차 및 국경 지연에 직면해 있다.

한편 12월 1일 미국 소비자 뉴스 및 비즈니스 채널 웹사이트에 따르면 런던 정치경제대학 경제성과연구센터의 비관세 장벽이 소비자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영국의 EU 탈퇴 이후 2021년 말까지 최근 2년 동안 가계 식품 요금이 6% 상승했다.

신문은 저소득 가구가 비용 상승에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으며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따른 물가 상승으로 이들의 총 생활비가 1.1% 증가해 가장 부유한 가구의 0.7% 증가폭을 웃돌고 있다고 전했다.

연구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영국 소비자들은 총 58억4000만 파운드(한화 약 9조 2838억 4800만 원)의 식품 비용을 더 지불했다.

영국은 수년간의 어려운 협상 끝에 2020년 1월 유럽연합(EU)를 공식 탈퇴하고 2021년 1월 유럽 단일시장과 관세동맹을 탈퇴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영국과 EU 간의 무역은 여전히 면세이지만 광범위한 세관 검사, 원산지 규칙 요구 사항 및 동식물 무역에 대한 위생 조치가 추가되어 수출입업체의 마찰이 증가하고 있다. 

비관세 장벽이 높은 제품은 소비자 가격 상승을 촉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는 EU 수출업체와 영국 수입업체가 새로운 장벽으로 인해 더 높은 비용에 직면했음을 시사하며, 그 중 50~88%가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다.

비관세 장벽의 증가는 올해 치솟는 인플레이션 현상 중  '하나의 요인'이다.

영국의 10월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1.1%로 41년 만에 가장 높았고,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11월에 12.4%를 기록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케이두컨설팅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영국 소비자들은 올해 식품 청구서에 682파운드를 더 지불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이 기록적인 경기 침체와 악화되는 생활비 위기에 대비하면서 EU 탈퇴 결정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OECD는 지난주 영국의 성장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처졌다고 밝혔다.

또한 G7에서 영국은 팬데믹 이전 성장률을 회복하지 못한 유일한 나라라고 밝혔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