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일본 경제연구센터,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책 대응 방안 발표
현재 유일한 정책은 성장 잠재력 강화 필요 장기적인 정책 목표와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제한된 재정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일본의 유력 경제연구기관인 일본경제연구센터는 최근 일본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책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그 요점을 아래와 같이 소개한다.
어떤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책대응 방안으로 직접적인 가격 통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것은 첫 번째 오일 쇼크 동안 취해진 정책 대응이다. 또는 수입업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고 소매 가격을 낮게 유지해야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개발도상국에서 자주 채택되는 정책이며, 현재 일본이 채택하고 있는 정책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정책은 시장 메커니즘에 개입하려고 시도한다. 결과적으로 가격이 상승 한 것을 절약하기위한 인센티브가 줄어 든다. 특히, 석유 제품 및 기타 제품의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것은 현재 글로벌 이슈 인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기위한 조치에 반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은 현재 수용 추세에 있는 통화 정책이 강화되어야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사실, 앞서 언급했듯이 통화 정책의 이러한 변화는 주로 미국과 유럽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탄력성이 여전히 약하고 큰 출력 갭이 남아 있으며 디플레이션 압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 긴축은 재정 적자의 확대와 함께 금리에 대한 상승 압력을 증가시키고 현재의 거시 경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현재 수입 가격 상승과 엔화 감가 상각의 단점에 직면 해있는 기업들에게 더욱 그렇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지금 취할 수있는 유일한 정책은 가격 상승을 견딜 수있는 성장 잠재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 실질가치 하락에 만족해 온 임금인상으로 가계의 대응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엔화 감가 상각의 장점으로 인해 이익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출 회사 또는 수입 가격 상승의 영향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업의 임금을 인상해야한다. 이것은 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는 가정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형성하는 첫 걸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현재 모든 회사가 이익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아니다. 엔화의 감가 상각과 소매 가격에 대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비용 인상을 전가하지 못하는 많은 회사가 있다. 그러한 회사에서 일하는 고용주가 임금을 인상하기를 원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정부는 수당금 지급과 같은 방법으로 직접 지원의 손길을 뻗을 필요가 있다. 당연히 이것은 재정 지출의 증가이므로 재정 자원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수입 기업에 대한 보조금과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수입 기업에 대한 보조금을 통한 소매 가격 억제는 혜택이 고소득 가구에 널리 보급되는 반면, 가구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은 필요한 가구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현재의 인플레이션율에 대한 정책 대응에서 장기적인 정책 목표와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제한된 재정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