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베트남서 핸드폰 제조... "전체 생산 체인 이동한거 아니다"
베트남 시장점유율 22%... 2위 차지 베트남 현지 생산량은 태국과 말레이시아에 수출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가 베트남 광홍(光弘)기술의 파운드리 공장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기 시작했다고 닛케이(日經)중문망이 5일 보도했다.
샤오미는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제품일 뿐 전체 생산 체인이 베트남으로 이전되는 것은 아니다"고 확인했다.
레드스타캐피탈에 따르면 샤오미 관계자는 해외에 있는 모든 공장은 파트너사가 운영하고 있으며 샤오미는 경영권도 소유권도 없다고 밝혔다.
닛케이중문망은 "공장 전체 부지는 약 20만 m², 투자액은 약 8000만 달러(약 11억 원)로 스마트폰 외에도 데이터 전송 장비와 회로 기판 등 각종 부품을 생산할 것"이라고 전했다.
베트남 현지 시장에 공급하는 것 외에, 핸드폰 생산품과 관련 장비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을 비롯한 일부 동남아 시장에도 수출될 예정이다.
신문은 분석가들을 인용해 현지에서 스마트폰을 생산하면 납기를 단축하고 샤오미의 베트남 운송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샤오미 측은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와 수출입 물류비 증가로 동남아 시장에서 출하원가가 상승했다고 맞섰다.
하지만 "샤오미는 파트너와 손잡고 유통원가를 줄이고 납품 효율을 높이는 전략으로 현지 생산을 실시한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샤오미는 2022년 1분기 베트남 스마트폰 제조사 중 2위로 올라서 오포, 애플, 비보 등 베트남 시장에서 오랫동안 공을 들여온 브랜드를 제쳤다.
카날리스는 샤오미가 2021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여전히 플러스 성장을 이어가며 차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했다고 보도했다.
샤오미는 처음으로 시장점유율 22%로 베트남 시장(판매출하량) 2위에 올라 베트남의 기존 스마트폰 업체들을 제쳤다.
국제데이터회사(IDC)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4분기 스마트폰 수요가 급증해 연간 출하량이 12% 증가한 1590만 대를 기록했다.
베트남은 올해도 동남아 스마트폰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