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국가 식품 전략 발표… 국내 생산량 증가시켜 식량 안전 제고
소금과 설탕에 세금 부과하여 사용 감소 효과 노려
영국은 14일(현지시간) 비만 문제 해결보다 국내 생산량을 늘려 식량안보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첫 국가 식품 전략을 발표했다.
영국 정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식량 공급이 교란돼 식료품 가격이 치솟았다"며 "영국의 식량 안보 강화 필요성을 부각시켰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국가 식품 전략은 영국의 식량 생산 수준을 대체로 유지하면서 농업과 생선 등의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다.
2029년까지 농업은 총 2억7000만 파운드의 혁신 투자를 받는다.
영국의 존슨 총리는 성명을 통해 "새로운 전략은 농민을 지지하고 미래의 경제 충격으로부터 식량 공급을 보호하는 데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신기술과 혁신을 통해 전국적 일자리 창출과 경제발전이라는 자기 먹거리를 더 많이 심고 먹는 것도 결국 가격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 전략은 영국의 외식업자 헨리 딤블비가 지난해 독자적으로 심사해 마련한 것으로 소금과 설탕에 세금을 매겨 제조사의 사용을 줄이자는 권고도 포함돼 있다.하지만 새 전략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유스티스 영국 환경장관은 "정부는 건강과 지속 가능한 정책을 추진하는 제안을 대부분 수용했다"며 "오바마의 도전과 코로나19 팬데믹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야당인 노동당은 새 전략이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구호와 기존 투자 계획을 다시 선포할 뿐이다고 주장했다.
노동당 환경·식품·농촌 담당 대변인인 맥마흔은 "영국은 생활비의 위기에 처해 있다. 물가가격이 치솟고 실질임금이 하락하며 세수가 늘어난다.지금 정부가 그들의 혼란을 해결할 의지가 전혀 없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