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망] 주식 종목 (2022년 5월 31일)

2022-05-31     최수연 기자
사진=웨이보

[경기 부양책 기대감에 소비 분야 테마주 강세]

중국정부가 잇따라 내놓은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5월 30일, 상하이종합지수, 선전지수와 차스닥지수는 일제히 1% 이상 상승으로 마감했다. 테마별로 보면 국유기업개혁 테마주들이 상한가 돌풍을 일으켰으며 소비류 분야인 호텔, 음료제조, 소형가전, 자동차, 관광 등 테마주도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증권가는 상하이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서 코로나 영향으로 상승세가 주춤했던 방산업,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건설, 자동차반도체, 뷰티 등 테마주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바닥을 다지며 반등을 노리는 분야 특히 정보기술혁신산업, 약방, 조미료 식품가공, 관광•호텔, 요식업 등 테마주의 반등도 기대해 볼만 하다고 조언했다.

[5월 30일, 주목할 테마 및 개별 종목]

5월 30일, 자동차산업망 테마주가 대활약을 펼쳤다. 중퉁객차(中通客车, 000957)는 12거래일 연속 상한가, 터리A(特力A, 000025)와 둥펑테크(东风科技, 600081)는 4거래일 연속 상한가, 야싱객차(亚星客车, 600213)는 이틀 연속 상한가, 진룽자동차(金龙汽车, 600686), 덩윈주식(登云股份, 002715), 샤오캉주식(小康股份, 601127) 등이 당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대장주인 BYD(002594), 창청자동차(长城汽车, 601633), 창안자동차(长安汽车, 000625)도 상승세를 유지했다.

국유기업개혁 테마주도 일제히 상승했다. 중청주식(中成股份, 000151)은 9거래일 8개 상한가, 웨이차이중기(潍柴重机, 000880)와 웨미디어(粤传媒, 002181)는 3거래일 연속 상한가, 궈터우중루(国投中鲁, 600962), 루이타이테크(瑞泰科技, 002066), 린하이주식(林海股份, 600099), 진시차축(晋西车轴, 600495)은 2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당일 기타 많은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증권가는 저가 매수전략을 추천하고 있다.

[중국국제항공(中国国航), 산둥항공(山东航空) 지배권 취득 추진]

5월 30일 저녁, 중국국제항공(601111)은 산둥항공그룹유한회사(山东航空集团有限公司, 이하 ‘산항그룹’으로 약칭)의 지배권 취득을 통해 산둥항공주식유한회사(山东航空股份有限公司, 이하 ‘산항주식’으로 약칭)의 지배권을 취득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5월 30일 기준, 중국국제항공은 산항그룹의 지분 49.4%를 보유, 산항그룹은 중국국제항공사의 계열기업이다. 중국국제항공은 산항주식의 지분 22.8%를 보유하고 있고 산항그룹은 산항주식의 지분 42%를 보유하고 있다. 

진행상황에 관해 중국국제항공측은 현재 협상 중이며 거래협의는 아직 체결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5월 30일, 외국인 투자자 동향]

5월 30일 북향자금 순매수는 70억 4900만 위안(약 1조 3083억 원)을 기록, 그중 우량예(五粮液, 000858)가 순매수 1위, CATL(300750)이 순매수 2위를 기록했으며 그밖에 여러 바이주(白酒) 및 신재생에너지 테마주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수세가 유입됐다.  

최근 3거래일 연속 순매수세가 이어졌던 창장전력(长江电力, 600900)에 외국인의 대거 매도세가 유입하면서 북향자금 순매도 1위를 기록했다. 

[둥롼그룹(东软集团), 허난(河南)성정부와 전략적 협력협의 체결]

5월 30일, 둥롼그룹(600718)은 최근 허난성정부와 전략적 협력협의를 체결했는데 양측은 스마트 도시, 디지털 정부, 의료건강 등 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을 추진하며 ‘디지털 허난’ 전략적 발전의 새로운 고지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딩톡(钉钉), 기업 및 단체 2100만 곳에 서비스 제공]

최근에 발표된 알리바바그룹의 2022년 재정연도 Q4 및 연간 실적보고에 따르면 2022년 3월 31일 기준, 딩톡은 기업과 단체 2100만 곳에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딩톡 기반 개발앱은 350만 개를 돌파했다. 딩톡 측은 지속적으로 선 보인 다양한 디지털화 제품, 솔루션 및 서비스가 성장을 견인한 일등공신이라고 밝혔다.

2022년 4월 딩톡의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2억 2600만 명을 기록, 알리바바 시스템에서 사용자수 1위 to B(to Business) 플랫폼으로 부상했다. 현재 2000명 이상 규모 대형 기업의 딩톡 활성도 기여율은 30%가 넘는다.

(환율: 1위안=186원 적용)

최수연 기자 zhn826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