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 아세안 영향력 및 존재감 감소에 충격
일본의 대 아세안 무역액은 중국의 3분의 1정도…한국과 비슷한 수준 일본 전문가들, 일본의 대 동남아 인식 재설정 주문
최근 세계 성장 중심지로 여겨지는 동남아시아에서는 일본의 존재감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일본정부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일본 닛케이의 분석 보도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과의 무역 액은 중국에 의해 추월되었고, 격차는 확대되었으며, 한국도 곧 따라 잡을 것이다.
아세안 사무국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일본은 2003-21년 아세안과의 무역액 측면에서 2008년까지 미국과 경쟁했지만 2009년 중국에 의해 추월되었고 2021년에는 거의 세 배가되었다.
2003년 3배 이상 벌어졌던 한국과의 격차는 좁혀졌고 202년에도 1.3배로 유지될 것이다.
일본의 아세안 1년 직접투자(흐름)는 2012년 14.852억 달러(약 1조 9천억 엔)에 달해 미국에 이어 아세안 지역에서 세 번째로 높았지만 2020년에는 8.52억 달러로 6위로 떨어졌다.
아시아 각지에서 아세안 회원국을 방문하는 방문객 비율은 2012년 16%에서 2020년 10%로 떨어졌다. 코로나 참사로 인해 국가적 고립 정책으로 조롱받아온 엄격한 검역 조치도 반향을 일으켰고, 일본 정부 관료와 기업 임원들의 출장이 줄어들면서 중국과 한국이 격차를 벌리고 있다.
아세안 회원국 전문가들의 태도에 대한 조사는 싱가포르 싱크탱크인 이세아스 유소프 이삭 연구소(ISEAS YUSOV ISHAK INSTITUTE)가 2019년에 시작했다. 아세안(ASEAN)에 가장 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국가 또는 지역을 묻는 질문에 일본에 응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2021년 2.6%로 2019년 6.2%에서 감소했다. 그것은 중국의 77%에 훨씬 못 미친다.
반면에 과거 실적을 보여주는 통계는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 일본에서 아세안으로의 직접 투자 비중은 지난 5년간 12%로 1년 연속 유동 측면에서 평균 12%를 기록했지만, 누적 투자(주식)는 19%로 높아 다른 나라보다 두껍다.
전쟁이 끝난 후, 일본은 경제 협력을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국가 건설에 기여했다. 1999~2019년 일본은 아세안에게 순 공식개발지원(ODA) 지출의 15%를 제공했다. 자국에서 자재, 장비 및 장비를 조달한다는 조건으로 "원조"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중국과 달리 일본은 끈을 피하고 수혜국의 이익을 우선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세안에 대한 과신에 경고하는 목소리는 거의 없다. 개발도상국의 명예 연구원인 유리 사토(YURI SATO)는 "사람들은 일본이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 아세안에게 예외적인 깊은 유대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역 사회는 날마다 덮어쓰고 있으며, 일본은 동남아시아에 대한 인식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토 씨는 또 "일본 브랜드와 애니메이션에 둘러싸여 자란 동남아시아의 40~50대 사람들은 일본에 대한 신뢰가 있는 지금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미국과의 동맹을 중심으로 아시아 외교를 구축했으며 아세안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우크라이나 위기가 동남아시아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증가시키면서, 일본의 존재감 감소는 외교력에 영향을 미친다. 아세안과의 관계 재건이 시급히 필요하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