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식료품 가격 급상승... ‘사재기 현상’ 발생
2월 5.2%, 3월 7.3% 물가 상승 물가안정 위해 다양한 조치 내놔
독일에서 에너지 비용 급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파괴 여파로 생필품 가격이 급등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가격 인상을 앞두고 일부 지역에서는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쟁의 여파로 식용유와 밀가루 등 공급부족현상에 따른 물량부족 이외에도 가격인상 전 식료품을 비축하려는 일부 사람들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보기 드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독일 통계청은 최근 3월 물가상승률을 7.3%로 보고했다. 에너지 가격이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4.7%나 폭등한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음식과 음료는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5%가 더 비싸졌다.
독일소매업협회(HDE)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기 전,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인해 5% 가격인상을 진행했으며, 4월 내 재차 가격인상을 예고했다고 5일(현지시간) 유로저널이 보도했다.
독일은 2월에 5.2% 물가가 상승하였다.
슈퍼마켓 체인 REWE 대변인 역시 발표된 인상분에 대해 "현재 원자재, 에너지, 물류 비용 등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전체적인 상품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독일 대형 할인점 브랜드 알디(ALDI)역시 식료품 가격은약 20~50% 가까이 인상했다.
ALDI는 2주 전 약 160개 품목의 가격을 인상했으며 지난 월요일부터 20개 품목을 추가적으로 인상했다.
빵과 치즈는 각각 7%, 4.7% 증가해 전년 대비 상대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지만 계란(+16.3%), 상추(+17.1%), 버터(+20, 4%), 토마토 (+27%) 및 오이(+30.3%)가격은 급등했다. 이에 일반 서민들의 애호 식품인 샌드위치 가격은 자연히 상승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장바구니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연금이 주 수입원인 노년층이나, 저소득층의 생계가 위협 받고있다.
이에 따라 독일정부에서는 물가안정을 위해 부가가치세 인하, 대중교통 정기권 할인 등 여러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과 러시아 전쟁의 여파가 계속 되는 가운데, 서민 물가 안정 대책에 대한 향후 조치에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