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얀마 군 관계자 및 보병 부대에 추가 제재 부과

제66 경보병 사단과 소속 지휘관 2명도 제재대상에 포함 영국과 캐나다 등도 제재 동참

2022-03-26     이창우 기자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은 미얀마의 군사 쿠테다 정부의 대국민 학살 사건이 지속되는 것과 관련 강력한 추가 제재조치를 하고 나섰다.

24일(현지시간) 미 워싱턴 포스트 등의 보도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쿠데타와 미얀마군의 민간 학살 등과 관련하여 5명의 군 관계자 및 보병부를 포함한 5개 단체를 제재대상으로 추가 지정했다. 

미얀마 보병단은 작년 12월 카야 동부에서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30명 이상의 난민 학살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카야 사건은 또한 가난한 아이들을 지원하는 국제 비정부 기구인 세이브 더 칠드런의 직원 2명을 죽였다.

워싱턴은 지난 24일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에 대한 폭력, 대량 학살과 인류에 대한 범죄를 찾는 등 군에 대한 압박을 강화했다.

블링켄 미국 국무장관은 성명에서 소수민족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잔학행위"를 계속하는 군대를 비난하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재 대상은 미국인과 거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국 자산을 동결할 수 없다.

지난 25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도 “미국 재무부는 이날 미얀마 군부의 무기 공급원인 3명의 무기 중개상과 방위산업 기업 1곳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재무부는 민간인 학살과 연관된 미얀마군 소속 제66 경보병 사단과 소속 지휘관 2명도 제재대상에 포함했다.

앞서 미국 재무부는 지난해 2월 쿠데타 이후 미얀마 군부가 시위대들에 대한 유혈진압을 이어가자 27개 사업체와 70명을 제재 대상에 추가한 바 있다.

미국이 제재 조치를 발표하자 캐나다와 영국도 동참했다. 캐나다는 미얀마 군부에 무기를 공급한 4명의 개인과 2곳의 기업을 제재 대상에 포함 시켰다. 영국도 2명의 개인과 3곳의 기업에 추가로 제재를 가했다.

미얀마 군부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어떠한 집단학살에도 관여한 적 없다"며 "미국의 조치는 잘못된 정보에 근거해 국내 문제에 개입하려는 시도"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