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우크라 휴전 기대감’ 상실, 미국증시 '강타'...3대 지수 하락
푸틴 러 대통령, 우크라 협상 기대감 상실 3대지수 상승 출발 후, 하락 전환. 미 · EU, 러시아 최혜국 대우 박탈 등 추가 제재 나서 다우지수, 나스닥 지수 연속 하락세 면치 못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협상 진전 기대감에 상승 출발한 3대 지수는 장중 하락 전환했고 장 막판에 낙폭을 키웠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추가 제재와 미국과 EU가 러시아 최혜국 대우 박탈 등 추가 제재에 나서면서 더욱 하락을 부추겼다.
이에 다우지수는 5주 연속 하락세를,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2주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229.88포인트(0.69%) 하락한 3만2944.19로 장을 마쳤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29.88포인트(0.69%) 하락한 32,944.19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 대비 55.21포인트(1.30%) 떨어진 4,204.31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286.15포인트(2.18%) 하락한 12,843.81로 거래를 마쳤다.
주식 투자자들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진전 상황, 서방의 제재 강화 동향과 그에 따른 경제적 여파, 곧 개최될 연방준비제도(연준·Fed) 통화정책회의 등을 주목했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모스크바를 방문한 알렉산데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을 만나 "(양측의 협상에서) 특정한 긍정적인 변화들이 있다고 우리 쪽 교섭자들이 내게 전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어떤 긍정적인 변화와 휴전과 관련한 구체적인 징후들이 확인되지 않으면서 장중 실망 매물이 늘어났다.
주말과 다음 주 연방준비제도(연준·Fed) 통화정책회의를 앞두고 포지션을 정리하려는 움직임도 약세로 돌아서게 했다.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40년 만에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하면서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할 가능성을 90% 이상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미국과 EU는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했다. 미국은 우선 주요 7개국(G7)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과 함께 러시아에 대한 '항구적 정상 무역 관계'(PNTR)에 따른 최혜국 대우를 박탈하기로 했다. 이에 러시아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근거가 마련된 셈이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한동안 주가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CNBC는 이날 "주간 기준으로 다우지수는 5주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S&P500 지수와 나스닥지수 역시 2주 연속 하락장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LPL 파이낸셜의 라이언 데트릭은 CNBC에 "우크라 휴전에 대한 기대감이 실망감으로 변하면서 불확실성을 가중하고 있다"라며 "주가가 또 한 번의 하락 주간을 맞았다"고 평가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