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ON] 러시아, 초고강도 제재에 ‘맞불’...특별 대응책 강구
외국인 투자자 자산 동결 조치 국부펀드 투입 자국 기업 주식 매입 자국 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책 강구
미국과 유럽연합은 러시아 중앙은행의 자국 금융기관 예치자산을 동결했다. 러시아는 이로 인해 루블화 가치가 폭락하고 자금 인출 사태가 우려되자 국내에서 달러 등 외환 지불을 강하게 제한했다.
더욱이 러시아 주요 일반은행들은 국제금융 통신망 겸 결제시스템 스위프트에서 축출되었다. 그런 만큼 러시아는 달러를 구하기 어렵게 되었다. 특히 자국 채권을 산 외국 투자자에게 달러이자를 지불하는 것이 불가하여 국채 이자 디폴트가 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루블화 가치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급락했다.
더욱이 서방의 가중되는 제재에 발맞춰서 글로벌 에너지 기업을 필두로 그간 러시아와 비즈니스 관계를 맺어온 대다수 기업들이 러시아와 관계 청산을 선언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서방의 강력한 제재로 궁지에 몰린 러시아가 서방의 초고강도 제재에 다양한 대응책을 쏟아내고 있다.
2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러시아 정부는 “외국인 투자자의 러시아 자산 매각을 일시적으로 금지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러시아 금융 당국은 러시아에서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사흘 연속으로 주식 시장을 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러시아 미하일 미슈스틴 총리는 “자산 회수 제한 조치가 루블화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자국 통화인 루블화를 매입하는 거래 외에 다른 외환 거래를 중단했다. 1만달러(약 1200만원)를 초과하는 외화를 국외로 반출하는 것도 금지했다. 러시아 정부는 국부펀드 자금 1조 루블(약 11조원)을 투입해 자국 기업 주식 매입에도 나설 방침이다.
러시아 정부는 자국 IT 기업 보호차원에서 향후 3년간 모든 IT 기업들의 이윤에 대한 세금을 면제하고, 과세 당국의 조사 대상에서도 제외시키는 조치를 취했다. 러시아 IT 기업의 자금 조달 지원을 위해 3% 이하의 저금리 대출도 제공된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또 루블화 환율 방어를 위해 기준금리를 9.5%에서 20%로 대폭 인상하고 올해 1월부터 해외로부터 확보한 외화 수입의 80%를 매각하도록 하는 외화 강제 매각 조치도 내놓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러시아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우리는 여전히 굳건하다"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모든 조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의 이러한 대응 조치는 서방이 러시아를 스위프트 결제망에서 배제시키는 등 강력한 제재의 타격이 현실화하는 가운데 나왔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