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불법 가상화폐 채굴장 13곳 폐쇄
中 가상화폐 채굴업체 몰려들면서 전력 수요 급증 토카예프 대통령, 가상화폐 채굴 관련 세금 5배 인상 제안
카자흐스탄 정부가 202MW(메가와트) 전력 용량을 가진 불법 가상화폐 채굴장 13곳(대부분 비트코인(BTC) 채굴장)을 폐쇄하고 업계에 대한 지속적인 단속을 약속했다고 미국 가상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가 2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지난 몇 달 동안 심각한 전기 부족에 시달려온 카자흐스탄은 국가 전력망 부하를 줄이기 위해 불법 가상화폐 채굴장을 추적해왔다. 합법적으로 운영해온 가상화폐 채굴장은 지난 9월부터 전력 공급을 받다가 올해 1월 국영 전력회사 카자흐스탄 송전망공사(KEGOC)가 전력 공급을 중단했다.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성명을 통해 "지난 5일 원자력감독위원회, 에너지부 직원들이 경찰 등 국가기관 대표들과 함께 점검을 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마그줌 미르자갈리예프(Magzum Myrzagaliev) 에너지장관은 “불법 가상화폐 채굴장이 약 340MW 전기를 소비한다”라며 “이는 600MW가 합법적인 운영에 들어간 것과 비교된다”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5월 중국 정부가 가상화폐 채굴을 전면 금지하자 가상화폐 채굴업체들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전기 요금도 저렴한 카자흐스탄으로 몰려들어 전력 소비량이 증가하면서 6개 지역에서 정전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가상화폐 채굴 데이터를 측정하는 영국 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력소비지수(Cambridge Bitcoin Electricity Consumption Index)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BTC 채굴 국가로 지난해 8월 기준 해시레이트(hashrate, BTC 채굴 난이도) 점유율은 18%다.
한편 카심-조마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지난 8일 가상화폐 채굴 관련 세금을 5배 인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성호 기자 kimsh@nv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