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ON] 美 연구진, ‘오미크론’ 전용 백신 필요 주장
리보핵산 백신의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 낮다는 결과 발표
미국의 한 의료 대학 연구팀이 리보핵산(mRNA)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대응하는 백신의 개발을 주장하고 나섰다.
1월 2일(미국 현지시간) CNN은 화이자‧모더나 등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예방 효과가 매우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뉴욕시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 연구팀은 화이자‧모더나 백신으로 2회 접종을 받은 경우와 3회 접종인 부스터 샷을 맞은 이들의 혈액을 검사했다.
검사 결과는 두 백신 모두 2회 접종을 완료해도 오미크론에 대한 면역력 형성이 떨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오미크론 중화 항체는 85개의 모든 혈액 표본에서 베타 변이 및 원래 균주와 비교해 14.5배 이상 감소했으며 샘플의 16.5%는 오미크론에 대한 중화 능력이 거의 없었다.
여기에는 감염에서 회복된 이들의 혈액이 4분의 3이 포함됐지만 코로나19 회복 환자에게서 분리한 항체는 오미크론 중화 능력이 백신 항체보다 더 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백신 별로 보면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백신을 2회 접종한 사람들의 혈액은 오미크론에 대해 23배 낮은 중화 항체 수치를 생성했고 모더나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들의 항체 수치는 42배 더 낮았다.
추가 접종을 받은 사람들의 중화 활성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7.5배, 모더나의 경우 16.7배 낮았다.
기존 백신 접종 후 재감염에 대한 보호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결과는 앞서 영국과 남아공에서 진행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효능 테스트 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
이에 따라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 연구팀은 새로운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